졸업생, 수도권·해외로 떠난다
지역민과 멀어진 '닫힌 캠퍼스'
성과 압박에 흔들리는 연구 생태계
▲사진=디지스트 전경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2004년 설립 이후 '융복합 연구와 혁신 인재 양성'을 내세우며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출범했다. 그러나 출범 20년을 앞둔 지금, 그 성과와 위상은 여전히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가 많다. 중앙정부 의존적 재정 구조, 규모의 한계, 단기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등 근본적 문제가 반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지는 3회에 걸쳐 DGIST의 현주소와 과제를 짚어본다.<편집자주>
글싣는순서
1:“국가 거점 연구기관의 그늘"
2:“연구는 쌓이는데… 산업과 지역은 외면"
3:“지역에 뿌리내리지 못한 과학기술원"
대구=에너지경제신문 손중모기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정부 출연금 중심의 재정 구조와 KAIST·포스텍 대비 예산 규모 차이, 단기 성과 중심의 연구 분위기 등 여러 구조적 과제에 직면해 있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 과제 의존도 높아 장기 전략 추진 어려워"
15일 에너지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DGIST 예산 가운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출연금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교원들은 “정부 과제 중심 구조가 연구 지속성과 자율성에 제약을 줄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한 교수는 “정부 과제가 끊기면 연구실 운영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며 “장기 연구보다 단기 지표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게 되는 분위기도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DGIST 관계자는 “기술사업화 확대 등 자체 수익 기반 강화 방안을 병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KAIST·포스텍과 예산·규모 차이 여전
2023년 기준 KAIST는 약 1조 원, 포스텍은 5000억 원대, DGIST는 3000억 원대로 알려져 있다.
과학기술정책 분야의 한 연구원은 “예산 규모는 연구 인프라·인력 확보와 직결된다"며 “국가 과학기술 체계 내 영향력에도 차이를 만들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단기 성과 중심이라는 내부 의견도
학생 및 연구자 사이에서는 “성과 지표 중심의 연구 구조가 장기적·창의적 연구 추진에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박사과정 학생은 “과제가 다양하게 진행되다 보니 연구 주제가 자주 조정되기도 한다"며 “일부 학생들은 연구의 연속성이 부족하다고 느끼기도 한다"고 말했다.
◇DGIST “규모는 작아도 경쟁력 구축 중"
DGIST는 출범 당시부터 '제3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을 목표로 하고 있다.
DGIST 연구처 관계자는 “규모는 크지 않지만 융합 연구, 기초과학 분야에서 차별성을 확보해가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연구 역량 확대와 재정 구조 개선을 통해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DGIST 관계자는 “정부 출연금 비중이 높은 구조적 특성은 인정하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술사업화 확대와 산학협력 강화 등 중장기 재정 기반을 넓히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연구자들이 자율성과 창의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연구 환경 개선과 제도 정비도 병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DGIST만의 강점인 융합 연구와 기초·원천기술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제3의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이라는 설립 목표에 부합하는 성장 기반을 꾸준히 확보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