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컬쳐’ 글로벌 열풍에 건설사도 웃는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20 10:01

DL그룹, 글래드호텔 3분기 영업익 역대 최대 실적 거둬
여의도·마포 등 외국인 관광객 성지 된 핫플레이스 위치
번도건설, 뉴욕 타임스퀘어 리테일몰 인수…“K몰 만들 것”

ㅇ

▲서울 글래도 여의도 호텔 외관 전경. DL이앤씨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로 대표되는 K-컬쳐의 전 세계적 열풍 속에 건설사들이 반사이익을 누리며 웃고 있다.


19일 건설업계 등에 따르면 DL그룹의 글래드호텔은 올해 3분기 기준 매출 275억원, 영업이익 94억원을 거둬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글래드호텔이 호황을 누리는 것은 K컬처 열풍에 힘입은 바가 크다.


DL그룹의 메인 계열사인 DL이앤씨는 글래드 강남을, DL건설은 글래드 여의도를 시공했다. 우선 글래드 여의도는 여의도라는 입지적 강점을 기반으로 금융기관, 대기업, 공무원 등의 출장부터 포럼 및 행사로 인해 예약이 힘들 정도로 특수를 누리는 지점이다. 여의도 벚꽃 축제와 불꽃 축제, 크리스마스 등 여의도가 지닌 실적 개선세의 주요 요인이다. 특히 최근 K-POP 공연 수요를 여의도가 흡수하면서 실적이 뛰고 있다.



글래드 마포는 'K-컬처 성지순례' 최전선에 위치한 입지로 만실이 계속되는 등 방한 외국인들이 선호하는 곳이다. 특히 '올다무(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와 유명 카페 등 핫플레이스가 밀집한 홍대 권역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고, 샤오홍슈 등 중국의 Z세대 플랫폼에 인증 성지로 등극해 2030 '싼커(중국인 개별관람객)' 여성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삼성역 중심에 위치한 글래드 강남 코엑스센터는 싸이의 '강남스타일'로 대표되는 'K-팝 원조 중심지'라는 상징성을 바탕으로 공연 패키지 등 K-컬처 수요를 흡수하고 있다.



글래드는 작년 매출 1100억원, 영업이익 275억원을 거둬 전년 대비 매출 5.3%, 영업익 10% 신장을 이뤄낸 바 있다. 올해는 케데헌 등 한류열풍이 글로벌 현상으로 번지면서 더욱 큰 폭으로 실적 확대를 이룩하고 있다. K컬처 글로벌 유행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어 올 한해 글래드 실적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DL이앤씨 관계자는 “한국문화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글래드는 여의도, 강남, 마포 등 K-컬쳐의 주요 핫플레이스가 밀집한 지역에 위치해 있어 크게 수혜를 누리고 있다"며 “추후 경영성과가 더 긍정적으로 전망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도건설도 K-컬쳐 글로벌 유행으로 '잭팟'을 터트리고 있다. 반도건설은 지난해 미국 뉴욕 타임스퀘어 빌딩의 리테일몰(지하 1층~지상 2층)을 인수했는데 최근 전 세계적으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커진 상황에서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타임스스퀘어는 뉴욕의 심장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맨해튼을 대표하는 명소다. 전세계 글로벌 기업들이 탐내는 핵심 입지로, 브로드웨이와 7번가를 끼고 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광고비를 자랑할 정도로 광고효과가 높다.



반도건설은 K컬쳐가 전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현 상황에서 뉴욕 타임스퀘어 리테일몰에 장기적으로 K-푸드 등 주요 시설을 입점시켜 한국 문화 전파 및 홍보 효과를 톡톡히 누릴 수 있게 됐다.


반도건설 관계자는 “작년 타임스퀘어 리테일몰 인수 후 한국문화가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며 “장기적으로 K-컨텐츠, K-푸드 등 주요 시설들을 입점시켜 타임스퀘어를 한국문화를 전파시키는 K몰로 만들 계획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임진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