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 불가능한 코스피...‘안전지대’ 부상한 4대 금융지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24 16:40

이달 들어 코스피 8.7% 하락
4대 금융, 평균 3.53% 상승

견조한 펀더멘털, 고배당 매력
3분기 누적 순이익 ‘역대 최대’

환율 급등, ELS 과징금 부담이나
“향후 주가 흐름엔 이상無” 무게

트레이더

▲연말 배당 시즌을 앞두고 4대 금융지주의 탄탄한 펀더멘털과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코스피가 인공지능(AI) 거품론 등으로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KB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 주가가 '안전지대'로 떠오르고 있다. 4대 금융지주는 탄탄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중장기 밸류업 계획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있어 '방어적 매력'이 부각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원/달러 환율 급등,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과징금 등 일부 불확실성은 있지만, 이 역시 금융지주 주가의 흐름을 바꿀만한 이슈는 아니라는 평가가 나온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코스피는 이달 3일 4221.87에서 21일 3853.26으로 8.7% 하락했다. 반면 4대 금융지주 주가는 이 기간 평균 3.53% 오르며 코스피 수익률을 웃돌았다. 하나금융지주 주가가 이달 3일 8만5600원에서 21일 9만1000원으로 6.3% 상승하며 오름폭이 가장 컸고, 신한지주(+3.91%), KB금융지주(+2.12%), 우리금융지주(+1.76%) 순이었다.


특히 국내 금융시장이 '검은 금요일'이라고 불릴 정도로 변동성이 컸던 이달 21일에도 금융지주 주가는 선전했다. 이날 코스피는 하루 새 3.79% 하락했는데, KB금융(-0.58%), 신한지주(+0.39%), 하나금융지주(-0.98%), 우리금융지주(-0.38%)는 낙폭이 크지 않았다.



11월 들어 코스피, 4대 금융지주 등락률.

▲11월 들어 코스피, 4대 금융지주 등락률.

이는 연말 배당 시즌을 앞두고 4대 금융지주의 탄탄한 펀더멘털과 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맞물린 영향으로 해석된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10개 금융지주사(KB, 신한, 하나, 우리, NH, iM, BNK, JB, 한투, 메리츠)의 연결 당기순이익은 15조4428억원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9.9% 증가한 수치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치다. 특히 4대 금융지주는 올해 1~3분기 누적 순이익 15조8124억원으로, 역대 최대 순이익을 거두기도 했다. 금리 하락에도 여신(대출) 성장과 저원가성(저금리) 예금 확대로 이자이익이 늘었고, 수수료이익 증가로 비이자이익도 불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4대 금융지주 전반적으로 연간 배당총액 상향,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밸류업을 차질 없이 이행 중인 점도 투자심리에 긍정적이다. 예를 들어 금융 대장주인 KB금융의 경우 주당순이익(EPS)이 작년 3분기 누적 1만1165원에서 올해 3분기 누적 1만3531원으로 21.2% 증가했다. 하나금융지주는 지난 10월 3분기 실적발표 당시 15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과 주당 920원의 분기 현금배당을 실시하겠다고 했다. 3분기까지 매입을 마친 자사주 6531억원을 포함한 총 8031억원의 자사주 매입과 연초 발표한 연간 총 1조원의 현금배당을 합하면 올해 총 주주환원 규모는 1조8031억원으로 그룹 출범 이후 역대 최대치를 달성하게 된다.


다만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면서 자본건전성 지표이자 주주환원 여력을 나타내는 보통주자본(CET1) 비율이 흔들릴 수 있다는 점은 금융지주 전반에 부담이다. 금융당국이 4대 은행에 홍콩 H지수 ELS 불완전판매 관련 과징금 부과를 앞두고 있다는 점도 금융지주 투자심리에 불확실성으로 꼽힌다. 금융권에서는 원/달러 환율 상승에도 당초 목표치보다 다소 여유 있게 CET1 비율을 관리하고 있고, ELS 제재는 이미 알려진 이슈인 만큼 금융지주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사 전반적으로 고환율 기조에도 밸류업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대비하고 있다"며 “금융지주사들은 꾸준히 양호한 실적을 달성하고 있고, 연말로 다가올수록 고배당주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주가 역시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코스피 단기 과열 논란에도 4대 금융지주 주가는 아직도 저평가됐다"며 “4대 금융지주가 발표한 400조원 규모의 생산적금융, 포용금융 계획과 관련해 금융지주가 기업대출을 확대하고, 기업이 성장하면 그 이익이 다시 금융지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밝혔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