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연준 완화 시그널에 투자심리 회복…코스닥은 바이오 약세 지속
▲2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코스피가 지난주 급락 충격에서 벗어나며 24일 장중 3900선을 회복하고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주말 사이 미국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재부상한 데다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투자심리가 빠르게 개선되는 모습이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11시34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9.03포인트(1.27%) 오른 3902.29를 기록했다. 장 초반 상승 출발 이후 3900선 부근에서 등락을 거듭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수급을 보면 외국인은 653억원, 기관은 4118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주도했다. 반면 개인은 4701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이번 반등은 미국 통화정책에 대한 경계감이 다소 완화된 데 따른 영향으로 해석된다. 미 중앙은행(Fed)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되살아나면서 지난 주말 뉴욕증시가 강세 마감한 것도 국내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정책 기조를 중립 범위에 더 가깝게 이동시키기 위해 가까운 시일 내 연방기금금리 목표 범위를 추가 조정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시장에 완화적 신호를 보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삼성전자(+4.01%)와 SK하이닉스(+3.17%)가 동반 강세를 보이며 지수 반등을 견인했다. 지난주 급락에 따른 기술적 반등 성격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주도 비교적 강한 흐름을 나타냈다. △KB금융(+2.24%) △신한지주(+1.43%) △하나금융지주(+1.21%) △삼성생명(+0.48%) 등이 상승세를 보였다.
△삼성물산(+2.55%) △SK스퀘어(+6.20%) 등 지주주 역시 탄력을 받았으며, 방산·조선 업종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3.33%) △한화에어로스페이스(+0.23%) △HD현대일렉트릭(+0.80%) 등이 비교적 견조한 흐름을 보였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2.35%) △LG화학(-2.04%) △POSCO홀딩스(-1.13%) △HD현대중공업(-0.90%) △기아(-0.70%) 등은 약세를 나타내며 업종 간 차별화가 두드러졌다. 두산에너빌리티와 한국전력, 카카오는 보합권에서 등락을 이어갔다.
코스닥지수는 같은 시각 862.51로 전일 대비 1.44포인트(-0.17%) 하락했다. 외국인이 1581억원을 순매도한 반면 개인과 기관은 각각 1513억원, 30억원 순매수했다. 바이오와 2차전지 관련 종목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펩트론(-11.92%) △에코프로(-4.19%) △에코프로비엠(-1.95%) △알테오젠(-0.55%) △에이비엘바이오(-0.59%) △리가켐바이오(-1.46%) 등이 동반 하락한 반면 △레인보우로보틱스(+0.82%) △삼천당제약(+0.47%) 등 일부 종목만 제한적인 강세를 나타냈다.
국내 증권가에서는 최근 변동성이 펀더멘털보다는 수급 요인에 기인한 만큼 과도한 위축은 경계해야 한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변동성이 커질 때마다 단기 급락이 전개될 때마다 모아가는 전략이 유효하다"며 “최근 변동성 확대는 펀더멘털 변수로 인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