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4, 초고층 한강변 랜드마크…12월 공고·3월 총회 유력
여의도 12개 단지 순차 재건축…대교는 삼성, 시범에 시선집중
대우는 실적·레퍼런스, 롯데는 하이엔드 브랜드 앞세워 참전
▲성수4지구 설계안. 사진=연합뉴스
내년 서울 한강벨트 성수 4지구와 여의도 주요 단지 도시정비사업 입찰에서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이 정면 대결할 전망이다. 대우건설은 한강벨트 수주 경험이 풍부하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고 롯데건설은 최근 잠실 '르엘' 완판으로 하이엔드 브랜드 경쟁력이 부각되면서 양사의 대결에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성수4지구 조합은 이르면 12월 시공사 선정 공고를 내고 내년 3월 총회를 여는 일정이 유력하다. 성수4지구는 성동구 성수동1가 일대 8만9000여㎡에 초고층(최고 250m) 아파트 1500가구를 짓는 사업으로, 한강변·영동대교 북단에 맞닿은 뛰어난 입지 덕분에 조합원 규모는 약 700가구로 작지만 사업성은 매우 높게 평가된다. 지난 9월 서울시에 통합심의를 접수하며 인허가 절차도 본격화됐다.
시공권 경쟁은 대우건설과 롯데건설의 '양강 구도'가 유력하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성수4구역은 저희가 적극적으로 보고 있는 사업지"라며 “요즘 서울에서 나오는 사업이 많지 않아서 성수는 놓칠 수 없다는 분위기가 내부에 있다"고 말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도 “성수4구역은 관심 있게 검토하고 있는 곳"이라며 “아직 확정된 건 없지만 공고 일정에 맞춰 내부 검토를 이어가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대우건설은 신반포15차 1차 수주전 승리, 한남2구역(2022년) 시공권 확보 등 한강벨트에서 강한 면모를 보여 왔다. 신반포15차의 경우 이후 설계 변경에 따른 공사비 증액 갈등으로 조합과 계약이 해지돼 최종 시공사는 삼성물산으로 바뀌었지만, 2017년 1차 수주전에서는 대우건설이 롯데건설을 제치며 사업권을 따냈다. 이어 2022년 한남2구역에서도 롯데건설과 경쟁해 다시 승리하며 한강벨트 핵심 사업지에서 존재감을 입증했다. 두 회사가 성수4와 여의도권을 두고 '리턴매치'에 나서는 형국이다.
여의도 다른 단지에는 대우건설·롯데건설을 포함한 다수 건설사가 참여를 저울질하고 있다. 여의도는 시범·대교·공작·진주·목화 등 총 12개 노후 단지가 순차적으로 재건축에 나서는 대규모 정비 시장이며, 이 중 한강 조망권과 대지 규모를 갖춘 시범·대교아파트가 핵심 사업장으로 꼽힌다.
시범아파트는 기존 1584가구를 2493가구로 재건축하는 초대형 단지 프로젝트로, 한강·여의도공원 조망과 넓은 대지가 강점이다. 대교아파트는 한강변에 바로 붙은 50년차 노후 단지로, 지하 6층~지상 49층 약 900가구의 주거·상업 복합단지를 목표로 하며 여의도 12개 단지 가운데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가장 먼저 받은 선도 사업장이다. 대교아파트는 이달 총회에서 삼성물산이 시공사로 최종 선정됐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여의도 핵심 단지들은 사업성이 높아 면밀히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건설 관계자도 “여의도 신규 사업장은 선별적으로 보고 있다"며 “여러 조건이 맞는다면 참여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