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정] 김완석-김민준-조성인, 2025 경정 ‘최고의 별’ 부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11.26 14:19
하남 미사리경정장에서 열린 경정 경주에서 선수들 턴 마크를 돌며 경합

▲하남 미사리경정장에서 열린 경정 경주에서 선수들 턴 마크를 돌며 경합.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하남=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2025년 경정이 어느덧 막바지에 다다랐다. 전-후반기 굵직한 대상경주와 특별경정이 모두 성황리에 마무리되며 이제 남은 이벤트는 내달 10일과 11일 열릴 대망의 그랑프리 경정뿐이다. 경정 팬의 관심은 자연스레 올해 다승왕-상금왕은 누가 차지할지에 집중되고 있다.


◆ 상금왕 경쟁, 김완석-조성인 초접전

올해 상금왕 경쟁은 끝까지 긴장을 놓을 수 없는 양상이다. 현재 1위는 김완석(10기, A1)으로 총상금 1억3300만원을 기록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다. 6월 왕중왕전, 10월 쿠리하라배 우승으로 상금 순위를 단숨에 끌어올렸다.


김완석 경정선수(10기, A1)

▲김완석 경정선수(10기, A1).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그 뒤를 바짝 쫓는 선수는 조성인(12기, A1, 1억2900만원)이다. 4월 스피드온배 대상 경정 우승과 9월 서울올림픽 37주년 기념 대상경주 3위 성과가 더해지며 김완석과 격차는 미미하다. 남은 경주 성적에 따라 역전도 가능해 더욱 흥미로운 구도를 만들고 있다.



조성인 경정선수(12기, A1)

▲조성인 경정선수(12기, A1).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3위는 김민준(13기, A1, 1억1900만원)이고, 4위와 5위는 흥미롭게도 김민길(8기, A1)과 김민천(2기, A1)이다. 두 형제 선수의 상금 차이는 40만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6위에는 이동준(8기, A1, 1억500만원), 7위는 김도휘(13기, A1, 1억200만원), 8위는 11기 김응선(A1, 1억원)이 이름을 올리고 있다.


현재 9000만원 후반대 상금을 기록 중인 선수는 주은석(2기, A1), 이용세(2기, A1) 등으로 이들 선수도 '상금 1억 클럽' 진입 가능성을 열어둔 채 선전을 이어가고 있다.



◆ 다승왕 경쟁, 김민준-김완석 살얼음판 경쟁

김민준 경정선수(13기, A1)

▲김민준 경정선수(13기, A1).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다승 부문 역시 시즌 종료까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박빙의 대결이 펼쳐지고 있다. 전성기를 맞은 김민준은 86회 출전 중 40승을 기록하며 선두에 서 있다. 하지만 김완석이 39승으로 불과 1승 차로 턱밑까지 추격하며 역전을 넘보고 있다.


여기에 조성인이 37승, 김응선(11기, A1)이 35승, 주은석(5기, A1)이 33승으로 충분히 추격 가능한 범위에 있어 다승왕 경쟁도 막바지까지 치열한 양상이 펼쳐질 전망이다.


◆ 세대교체 뚜렷… 김인혜 독주, 14∼16기 약진

김인혜 경정선수(12기, A2)

▲김인혜 경정선수(12기, A2).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여자 선수는 가파른 세대교체가 이뤄졌다. 그동안 3기와 6기 선수들이 경기를 주도했는데 올해는 김인혜(12기, A2)가 새로운 주역으로 떠올랐다.


김인혜는 85회 출전해 1위 28회, 2위 15회, 3위 13회로 평균 득점 6.44점을 기록하며 여자 선수 중 유일하게 다승 10위권에 등재됐다. 다만 큰 대회에서 이렇다 할 좋은 활약을 펼치지 못한 점이 아쉽다.



이인 경정선수(15기, A2)

▲이인 경정선수(15기, A2).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박민성 경정선수(16기, B1)

▲박민성 경정선수(16기, B1). 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 전문가 대다수는 이제 한국 경정은 10기 김완석을 필두로 14기까지 중간 기수가 경주의 축으로 떠올랐다는 평가한다.


특히 그동안 활약이 미진했던 후배 기수들 성장세가 뚜렷해졌다. 이인(15기, A2), 박민성(16기, B1), 전동욱(16기, A2), 최인원(16기, A1) 등이 그 예다. 이들 선수는 내년에 더 큰 파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여 팬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치열했던 2025년 시즌의 대미는 내달 10일과 11일 열릴 그랑프리 경정이 장식한다. 상금왕, 다승왕, 그리고 마지막 왕좌 주인공이 누가 될지, 경륜 팬 시선은 이제 여기에 모아지고 있는 양상이다.



강근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