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화재가 발생한 홍콩 아파트 단지 모습(사진=EPA/연합)
홍콩 고층 아파트단지에서 화재가 발생해 최소 44명이 숨지고 279명이 실종된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보수 공사용 '대나무 비계(작업자 이동용 간이 구조물)'가 참사 규모를 키웠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27일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참사로 건설 현장에서 대나무 비계를 포함한 관행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전날 오후 2시 52분께 홍콩 북부 타이포 구역의 32층짜리 주거용 고층 아파트단지인 '웡 푹 코트'(Wang Fuk Court)에서 불이 났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번 화재로 인한 사망자는 최소 44명으로 집계됐고 현재 45명이 위중한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망자에는 화재 진압에 투입된 소방관 1명이 포함됐다. 또 내부에 갇힌 것으로 추정되는 279명은 실종 상태다.
이번 사태는 44명의 사망자를 낸 1962년 이후 최악의 화재참사로 기록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홍콩 경찰은 과실치사 혐의로 이사 2명과 엔지니어링 컨설턴트 1명 등 공사업체 책임자 3명을 체포해 조사 중이다.
화재 당시 건물은 지난해 7월부터 대규모 보수 공사 중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외벽에 설치된 대나무 비계와 공사용 안전망으로 불이 번지면서 대형 불기둥이 치솟았다.
공사 중인 건물 외벽을 따라 설치하는 비계는 현재 통상적으로 금속 제품을 쓰지만, 홍콩에서는 여전히 대부분 대나무 비계가 사용된다.
홍콩은 건설 현장에서 대나무 비계를 사용하는 전 세계의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다. 금속 비계를 설치하고 있는 중국 본토보다도 전환이 늦다.
대나무 비계는 가볍고 유연한 데다 비용도 저렴하지만 위험성도 만만치 않다. 정부 통계에 따르면 2018년 이후 대나무 비계 관련한 사망 사고가 20건 넘게 발생했다. 작년에는 대나무 비계가 무너지면서 2명이 사망했고 지난달에도 대나무 비계 화재가 발생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에 홍콩 정부는 대나무 비계를 현장에서 점진적으로 퇴출하고 공공 건설 공사의 50%에 금속 프레임 사용을 의무화하기로 지난 3월 발표했다.
▲홍콩 건설 현장에 사용되는 대나무 비계(사진=로이터/연합)
이와 함께 홍콩 경찰은 외벽에 설치된 보호망과 방수포, 비닐 등이 방화(防火)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을 수 있다고 의심하는 한편, 공사용 우레탄폼이 화재를 급속하게 번지게 했을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크리스 탕 홍콩 보안국장은 “보호망, 방수포, 비닐 등이 일반적으로 기준을 충족시키는 소재보다 훨씬 더 강하게 연소되고 빠르게 퍼진다"며 현 상황이 “비정상적"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불이 붙기 쉬운 소재를 활용하면서도 담뱃불 같은 '불씨' 관리는 면밀하게 이뤄지지 않았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로 42년 된 '웡 푹 코트'는 40년이 넘은 건물은 대규모 보수를 해야 한다는 홍콩 당국 규정에 따라 지난해 7월부터 공사 중이었는데, 이미 공사 작업자의 흡연 문제를 지적하는 주민 민원이 제기됐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화재가 난 아파트가 홍콩 특유의 밀집형 건축물이라는 점도 피해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 아파트는 1983년 준공돼 올해로 42년이 된 노후 건물로 총 1984세대가 거주한다. 건축 면적 48∼54㎡(약 14.5∼16.3평)인 소형 세대로 구성돼있다. 아파트 간 간격이 좁으면 화재 발생 시 옆 건물로 옮겨붙기 쉽고, 연기가 빠져나갈 공간도 부족하다. 일부 주민들은 화재 경보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