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소득 하락세… “고령화의 영향으로 1인 가구 소득기반 불안”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7.09.13 15:16
20170319025205_AKR20170317177700002_02_i

▲(사진=연합 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유민 기자] 1인 가구 소득이 3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부터 임시직 일자리가 줄어들며 은퇴한 노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1인 가구의 소득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13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 2분기 1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64만2540원으로 1분기 168만1303원과 비교했을 때 3만8763원 줄어들었다. 작년 동기 167만 6003원과 비교했을 때도 3만3463원(2.0%) 줄었다.

1인 가구의 평균 소득은 전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인 361만7217원의 45% 수준이다.

올 2분기 1인 가구의 가구주 평균연령은 59.83세로 전년 동기 58.13세와 비교했을 때 1.7세 증가했다. 1인 가구는 고용이 안정되지 못한 청년이나 은퇴한 노인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1인 가구의 소득 감소는 전체 소득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는 근로소득 감소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1인 가구의 근로소득은 지난해 3분기 89만8664원을 기록한 이후 올 2분기 81만7674원까지 꾸준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6년 임금 근로자 중 상용 근로자는 2015년과 비교했을 때 38만6000명가량 늘었지만, 일용 근로자는 8만8000명가량 줄어들었다. 일용 근로자의 감소는 2012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정부 관계자는 "고령화 영향으로 대부분의 1인 가구주는 소득 기반이 취약하다"며 "지난해 일자리를 잃은 청년·노인들이 재취업을 하지 못한 것이 1인 가구 소득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유민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