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직수입에서 다시 유턴...포스코에너지, 가스公에 물량 요청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8.09.04 17:03

고가의 스팟가격에 인천복합 3, 4호기 연료조달 포기
가스공사 기지·배관 동시이용계약 추진도 ‘중단’

▲포스코에너지 LNG복합발전소(인천).


포스코에너지가 액화천연가스(LNG) 직수입 포기를 선언했다. 정부의 직수입 확대 정책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뤄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인천복합발전소 3, 4호기를 운영 중인 포스코에너지는 10월 말 한국전력공사 PPA(전력우선구매계약)와 한국가스공사 연료조달계약 만료를 앞두고 저렴한 LNG 구매를 위해 직수입 사업을 추진해 왔다. 동시에 가스공사 LNG 터미널 등 제조시설과 가스 배관망 이용을 위한 시설이용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었다. 특히 포스코에너지가 추진해 온 시설이용계약은 민간사에서 가스공사 LNG 저장탱크와 배관을 동시에 이용하는 첫 사례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최근 포스코에너지는 가스공사측에 올해 11월부터 내년 1월까지 3개월 동안 인천복합발전소 3호기에 사용될 LNG 물량 조달을 요청한 상태이다. 물량 규모는 3개월 동안 약 1만톤 수준. 국제 LNG 스팟 가격이 당초 예상보다 비싸지면서 직수입을 포기한 것이다.

실제 국제 LNG 스팟 물량 가격은 2016년 12월 이후부터 지난 4월까지 2달을 제외한 15개월 연속 전년 동월대비 높은 가격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mmbtu(천연가스 열량단위)당 1월 8.71달러→10.85달러, 2월 6.86달러→9.54달러, 3월 5.68달러→7.89달러, 4월 5.55달러→7.46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포스코에너지 측은 "스팟이 너무 비싸 가스공사에 공급을 요청했고 1만톤은 전혀 영향을 미칠 규모가 아니다"며 "비싸면 비싼만큼 가스공사에 비용을 지불한다"고 설명했다. 

10월 이후 포스코에너지의 인천복합발전소 3,4호기 연료에 대한 물량조달 계획이 전혀 없었던 가스공사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발전소 가동을 위해서는 연료조달이 필수적인데 이는 결국 가스공사가 값비싼 스팟 물량을 포스코에너지 대신 구매해 전체 LNG 소비자에게 그 부담을 떠넘겨야 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포스코에너지로부터 연료구매 요청 공문이 접수된 것은 사실"이라며 "현재 계량 등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와 수급을 포함한 다양한 검토가 이뤄지고 있고 물량조달에 대한 최종 입장은 이달 중 결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당장 이상기온 현상에 따른 최강 한파가 예고되고 있는 동절기를 코앞에 두고 수급문제를 최우선 순위로 고려해야 할 가스공사가 포스코에너지 대신 물량조달을 떠맡을 지는 미지수다. 더구나 천연가스공급규정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LNG 직수입을 포기한 민간사로부터 연료구매 요청이 들어왔을 경우 반드시 이에 응해야 할 의무는 없다. 다만 연료를 대신 구매해 공급할 경우에는 가산금을 물리는 패널티 조항이 있을 뿐이다. 

앞으로 물량조달 주체가 어느 쪽으로 판가름 나든 업계 판단은 사실상 "포스코에너지의 LNG 직수입 실패"로 규정하고 있다. 민간 LNG 직수입 사업의 최대 문제점 중 하나로 손꼽히는 체리 피킹 현상이 재현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거세다.

2004년부터 직수입을 추진하던 GS 3사는 유가인상 등 LNG 시황이 불리해지자 2007년 11월 직수입을 포기했다. 이에 따라 가스공사는 수급안정을 위해 불가피하게 고가의 스팟물량 구매와 장기도입계약 체결에 나서 국내 가스가격 인상을 초래한 바 있다. 당시 GS 3사가 포기한 직수입 물량은 연간 190만톤이며, 가스공사가 구매한 고가의 스팟물량은 약 96만톤으로 943억원의 추가 비용부담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김연숙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