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창원국제수소에너지전시회&포럼 개막식…‘드론’ 띄우고 ‘넥쏘’ 질주하고
가장 방문하고 싶은 수소 전시회, 수소산업 확산 ‘대표주자’ 자리매김 기대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수소사회를 향한 움직임이 본격 시작됐다. ‘제1회 창원국제수소에너지전시회&포럼( H2WORLD 2018)이 10일 개막식을 갖고 3일 간의 일정에 돌입했다. H2WORLD는 수소·연료전지 분야만을 특화한 국제 규모 전문전시회로 올해 첫 행사다. 가장 방문하고 싶은 수소 전시회이자 ‘수소사회’를 견인하는 수소산업 활성화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H2WORLD 2018은 ‘수소사회를 향한 움직임이 시작됩니다’를 슬로건으로 확정했다. 최근 정부의 수소정책 활성화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선봉에 나서 핵심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다. 이번 행사의 간판 프로그램인 ‘H2WORLD 컨퍼런스’에서 국내외 수소 전문가들이 글로벌 수소·연료전지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발표한다. 캐나다 수소연료전지 기술, 수소충전소의 국제 인증과 기준, 호주의 수소 로드맵, 한국의 수소사회 정책 등 다양한 주제발표가 예정돼 있다.
신에너지(수소의 R&D 방향), 연료전지, 미래수소를 각각 테마로 한 전문포럼도 행사장 곳곳에서 개최된다. 포럼은 매년 정기 개최를 통해 국내외 관련 전문가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포럼으로 성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개막식에서는 수소연료전지 드론 이벤트와 수소전기차 ‘넥쏘’ 퍼레이드가 펼쳐져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오인환 조직위원장, 허성무 창원시장은 전국 넥쏘 동호회 회원 30여명이 몰고 온 넥쏘 차량에 동승하고 창원시청 앞 광장을 거쳐 창원컨벤션센터로 이어지는 약 20분 코스의 ‘넥쏘 퍼레이드’를 펼쳤다.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연료전지를 가동해 구동하는 수소연료전지 드론(하이리움산업 제조)도 띄워 행사열기를 더했다.
창원컨벤션센터 제2전시장에 마련된 ‘H2WORLD’ 실내전시장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 중국, 미국, 캐나다, 호주, 이탈리아, 스웨덴, 독일 등 9개국 75개 기업이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며 수소 산업생태계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줬다.
범한산업, 에스퓨얼셀, 제이카, 두산퓨얼셀, 프로파워, 한국유수압 부스를 찾은 관람객들은 수소·연료전지시장에 출시된 관련 제품들을 직접 확인하며 많은 질문을 쏟아내는 등 큰 관심을 보였다.
해외기업의 전시부스도 눈길을 끈다. 글로벌 연료전지 기술 강국인 캐나다는 국가관으로 참여했다. 연료전지는 물론 수전해, 수소충전소 구축장비 등 다양한 수소·연료전지 제품군을 보유한 하이드로제닉스를 비롯해 중국 수소전기버스에 핵심부품인 스택을 공급하는 발라드파워시스템즈 등 5개 기업이 참여했다. 글로벌 기업 우드사이드(Woodside)도 호주 국가관으로 전시에 참여하고 중국은 현지 수소·연료전지 관련 기업인 약 10여명이 참관단을 꾸려 전시장을 찾았다. 현대자동차는 창원컨벤션센터 야외광장에 수소전기하우스를 설치, 약 한달 동안 전시를 계속한다.
창원시는 이날 이엠코리아, 제이엔케이히터, 리카본코리아, 두산모빌리티 등 4개 기업 간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수소에너지 융합시스템 실증단지’ 조성을 위해 상호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오인환 조직위원장은 "정부가 최근 혁신성장 3대 전략분야 중 하나로 ‘수소경제’를 선정한 만큼 성공적인 H2WORLD를 개최해 산업 확장과 수소사회를 견인하는 대표주자로 성장시켜 나갈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수소산업 전시회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국내외 관련 기업과 전문가가 가장 방문하고 싶은 축제의 장으로 이끌 필요가 있다"고 H2WORLD 개최 의미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