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촌공사 "수상태양광 설비, 환경에 부정적 영향 미치지 않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1.10 12:14

환경 변화 장기간 걸쳐 서서히 나타나, 오랜 기간 모니터링 필요

1

▲금광저수지에 조성돼 있는 수상태양광 발전 [사진제공=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한국농어촌공사가 수질 오염과 생태계 교란 등 수상태양광 사업 논란에 대해 반박하는 연구결과를 내놔 주목된다.

10일 한국농어촌공사에 따르면 공사 산하 농어촌연구원과 한밭대학교는 2017년 3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공동 수행한 ‘농업용 저수지 수면 활용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수상태양광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번 조사는 2015년 전체 면적의 5% 상당에 수상태양광 설비가 설치된 경북 상주시 오태저수지와 지평저수지 등 2곳과 태양광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상주시 상판저수지를 6차례 현장 조사해 비교 분석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연구팀은 수질 조사 결과 현재까지 수상태양광 설비가 특이한 변화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설비가 설치된 저수지 모두 농업용수 수질 기준에 부합했다고 전했다. 중금속은 설비의 영향권과 비영향권,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저수지 모두 미량 검출됐는데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부유물질(SS), 총질소(T-N), 총인(T-P), 클로로필-에이(Chl-a·녹조) 등 항목은 태양광 설비 설치 이후에 오히려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저수지 퇴적물에서도 특이한 변화나 부정적 영향이 없다는 게 농어촌공사의 설명이다. 카드뮴과 구리, 니켈 등 일부 중금속의 농도가 설비 영향권과 비영향권에서 차이가 났는데 설비가 설치되지 않은 저수지보다 오히려 낮아 수상태양광과 관련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수온과 조도 등 물리적 환경에 생긴 일부 변화의 경우 녹조 발생이 잦은 농업용 저수지에는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보고서는 판단했다.

수생 생물에 대한 영향 조사에서도 특이점은 발견되지 않았다. 종별 풍부도와 다양도에 있어 설비 영향권과 비영향권의 큰 차이가 없었고 어군탐지기로 확인한 결과 많은 물고기가 수상태양광 패널 아래에 분포하고 있었다.

보고서는 "현 시점, 현 규모의 수상태양광 설비는 농업용 저수지의 본래 기능과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며 "논 관개 시기의 급격한 유량 변화, 상류 오염원, 저수지 규모와 설치연도 등이 미치는 영향에 비교하면 수상태양광의 영향이 현저하게 낮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환경 변화는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더 오랜 기간 모니터링을 통해 수상태양광의 영향을 폭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전제했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