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대·중소기업 월급차 3배…657만원 vs 245만원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1.30 16:23

통계청 발표 2017년 전체 월급쟁이 평균소득 287만원


[에너지경제신문 구동본 기자] 중소기업 50대 임금근로자의 월급은 대기업 동년배 직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남성의 3분의 2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7년 임금근로 일자리별 소득 결과’에서 이같이 조사됐다.

이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2017년 기준 월평균소득은 287만원, 중위소득은 210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0만원(3.5%), 8만원(3.8%) 늘어났다.

월평균 소득은 근로소득 중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보수다.

중위소득은 임금근로자를 소득순으로 줄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자의 소득이다.

소득 구간별로 보면 150만∼250만원 미만이 25.1%로 가장 많았고 85만원 미만이 16.8%, 85만∼150만원 미만은 15.9% 순이었다.

월평균 소득이 중위소득의 50%미만으로 ‘빈곤’한 임금근로자의 비중은 20.8%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는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중위소득 50% 미만인 상태를 빈곤으로 규정한다.

2017년 기준 여성 임금근로자의 평균소득은 213만원으로 전년보다 7만원(3.5%) 늘었고, 남성 임금근로자의 평균소득은 337만원으로 12만원(3.6%) 증가했다.

여성 임금근로자의 평균소득은 남성 임금근로자의 63.2%에 불과했다.

연령대별 평균소득은 40대(352만원), 50대(332만원), 30대(312만원), 20대(198만원), 60세 이상(193만원), 19세 이하(74만원) 순으로 집계됐다.

연령대별 남녀 평균소득 차이는 50대가 200만원으로 가장 컸고, 40대 165만원, 60세 이상 129만원, 30대 70만원, 20대 16만원, 19세 이하 5만원 순이었다.

연령대별로는 남성은 40대(416만원), 여성은 30대(269만원)의 평균소득이 가장 높았다.

박진우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여성은 결혼 후 육아 등으로 경력단절이 생기면서 소득이 30대에서 정점을 찍고 감소한 것으로 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평균소득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대기업은 50대(657만원), 중소기업은 40대(260만원), 비영리 기업은 50대(410만원) 순이었다.

20년 이상 근속한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719만원으로 근속기간이 길수록 소득은 높았다. 1년 미만 근속 근로자의 평균소득은 165만원에 불과했다.

기업 규모별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세전소득을 보면 대기업 488만원, 중소기업이 223만원이었다.

중소기업 직원 월급이 대기업의 절반에 못미치는 수준이었다.

임금근로자를 소득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정중앙인 중위소득은 대기업이 417만원, 중소기업이 180만원이었다.

평균 근속기간은 대기업이 7.2년 중소기업이 2.6년이었다.

대-중소기업 직원 월 평균소득 차이는 265만원으로 1년 전보다 2만원 확대됐다.

2016년 평균소득은 대기업 476만원·중소기업 213만원이었다.

대-중소기업의 월 평균소득 격차는 50대에서 가장 컸다.

2017년 대기업 50대 임금근로자의 월 평균소득은 657만원이다.

중소기업의 같은 연령대 근로자(245만원) 보다 412만원 많았다.

50대 대기업 근로자의 월 평균소득이 중소기업의 약 3배 수준이었다.

기업 규모별 소득 격차는 20대에는 108만원에서 점차 확대되다가 60세 이상(223만원)에선 다시 축소했다.

5세 단위로 본 월평균 소득은 대기업 임금근로자는 50∼54세에 689만원으로 정점을 찍고 감소했다.

중소기업에선 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대가 40∼44세(263만원)였고 그 이후론 점차 소득이 줄었다.

월 소득은 산업별로도 차이가 컸다.

월 평균소득이 가장 많은 산업은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이하 전기·가스공급업)으로 615만원이었다.

전기·가스공급업에는 원자·수력·화력·태양력발전 등 전력산업과 연료용 가스 제조 및 배관공급업 등이 포함된다.

전기·가스공급업은 2016년에도 614만원으로 역시 통계청이 소득을 공표한 20개 산업 가운데 가장 많았다.

금융 및 보험업이 612만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다만 보험설계사 등 실적에 따라 보수가 결정되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하면 404만원으로 내려갔다.

소득이 가장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으로 122만원이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은 2016년(119만원)에도 20개 산업 가운데 소득이 가장 적었다.





구동본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