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조선공업회 회장 "韓 정부 과도한 지원…경쟁국과 협력할 것"
▲현대중공업 조선소. (사진=현대중공업)
일본 조선업계가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합병을 앞두고 견제의 시선과 함께 공정거래 심사를 예고해 험로가 예상된다.
특히 한국 조선업의 합병을 막기 위해서 일본 정부는 물론 해외 공정거래당국과 협력해 공정거래 조건을 확립할 계획이라고 밝혀 이번 인수합병의 새로운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미 유럽연합(EU)이 한국 조선합병과 관련해 불편한 기색을 드러내고 있는 데다 일본마저 깐깐한 심사를 예고해 합병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이토 유지 일본조선공업회 신임 회장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열린 취임 기자회견에서 "한국 정부가 자국 조선업에 대한 막대한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며 "정부의 과도한 지원은 설비 과잉을 낳고, 공정한 경쟁을 저해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정한 경쟁 조건의 확립을 위해 일본 정부는 물론 다른 나라와 협력해 공정거래 조건 확립을 촉진하겠다"고 전했다.
사이토 유지 회장은 또 "압도적인 크기의 조선그룹이 탄생하는 건 매우 위협적인 일"이라며 "각국의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를 그냥 지켜보는 것으로는 생각할 수 없다"며 합병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을 보냈다.
그는 "향후 조선업도 제조에서 솔루션 형태로 방향 전환이 진행된다"며 "빅데이터 및 사물인터넷(IoT)의 활용을 추진함으로써 개발·설계·건조 사이클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본 조선업계는 그동안 한국 조선 합병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며 반대의 뜻을 전해왔다.
일본조선공업회는 지난 4월, 현 세계 조선업체에 팽배해 있는 공급과잉을 비판하며 이러한 상황이 초래된 것은 한국, 중국 정부 등의 공적지원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의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공적 지원과 현대중공업의 대우조선해양 인수 움직임은 시장질서에 위배되는 것이라는 게 일본 측 주장이다. 대우조선해양의 대주주가 기존 한국산업은행에서 현대중공업으로 변경 되지만 여전히 과잉공급 능력이 예상된다는 이유에서다.
같은 이유에서 일본 정부는 한국 정부의 자국 조선소 지원을 두고 지난해 11월 세계무역기구(World Trade Organization·WTO) 협정에 근거해 분쟁 처리 해결 절차를 개시한 바 있다. WTO에 공정경쟁 조건 확보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엄격한 감시를 요청한 것이다.
현대중공업이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하기 위해서는 한국 공정거래위원회는 물론이고 EU(유럽연합), 중국, 일본 등 10여개국 공정거래당국의 기업결합심사를 거쳐야 한다.
이 가운데 EU가 최근 독일 철강회사인 티센크루프와 인도 철강회사인 타타스틸의 합병 승인을 불허해 합병을 추진 중인 국내 조선업계에 불똥이 튈까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세계 1, 2위 조선소인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이 합병할 경우 세계 시장 점유율은 20~30%에 달한다"면서 "일본의 WTO 제소도 그렇고 경쟁당국의 깐깐한 심사 예고 등 합병 과정의 험로가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