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 수산물 4.1% 감소...日 경제보복 농산물수출로 확대 가능성
![]() |
▲서울 시내 한 마트에 진열된 농산물.(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파프리카, 김 등 일본으로의 수출이 많은 농산물까지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일본은 우리나라 농식품과 수산물의 최대 수출 시장인 만큼 일본 정부가 반도체 소재에 이어 한국 농식품까지 추가 규제하게 되면 그 파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일본 농수산물 수출은 상대적으로 부진한 흐름을 보였다.
올해 1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일본으로 수출한 수산물은 3억6100만 달러(약 420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 감소했다.
우리나라의 수산물 총수출액은 12억8200만 달러로 7.3% 증가했지만 1위 수출 대상국인 일본 수출은 오히려 뒷걸음질친 것이다.
상반기 농식품 수출액이 34억6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2% 감소한 가운데 일본으로의 수출액은 6억9000만 달러로 오히려 2.7% 증가했다.
그러나 이는 대 중국 수출액이 5.1%, 미국은 8.9%, 베트남이 11.1% 각각 증가하는 등 주요 시장 수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증가 폭이 작다.
농식품과 수산물 모두 일본이 우리나라의 최대 수출 시장이라 이들 상품에 대한 일본의 수입 규제가 현실화하면 그 피해는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품으로는 농식품에서는 파프리카, 토마토, 김치를, 수산물에서는 김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지난해 파프리카 수출액 가운데 일본 비중은 99%에 달할 정도로 컸다.
이개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달 11일 국회 업무 보고에서 "아직 구체적 조치가 일본에서 있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일본의 경제 보복이 우리 농산물 수출로까지 번질 경우, 일부 신선 채소가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이 장관은 "매년 일본에 13억 달러(약 1조5200억원)를 수출하고, 파프리카는 1억 달러(약 1172억원)를 수출한다"며 "우리들로서는 농산물 수출이 일본과 보완 관계에 있는 품목이 많아 그런 부분을 중심으로 설득과 대응 노력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수산물 수출도 양국 관계 악화로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대표적 일본 수출 수산물인 김은 일본의 김 흉년으로 올해 들어 수출이 호조를 보였으나 하반기 수출 전망은 불투명하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김 전체 수출액 5억2500만 달러(약 6239억원) 가운데 22.5%인 1억1800만 달러(약 1402억원)가 일본으로의 수출이었다.
일본은 이미 세계무역기구(WTO)의 후쿠시마산 수산물 수입금지 분쟁 판결에서 한국에 패소한 뒤 사실상 ‘보복 조치’로 지난달부터 한국산 넙치와 생식용 냉장 조개 등 5개 품목에 대한 수입 검사를 강화했다.
정부는 일본·중국·미국 등에 집중된 농식품 수출 시장을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신북방 지역으로 다변화하는 등 선제적으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송재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