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의 세계화, 에너지 안보 중요성 높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7.22 15:09

에경연,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따라 간헐성 고려 인접국가 간 전력망 설립 필요성 제기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가스의 세계화가 지속됨에 따라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진단이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이 22일 발표한 ‘아시아 지역의 에너지 안보’ 분석결과에 따르면 아시아 국가들의 천연가스 수입이 증가하고 가스의 세계화가 증대됨에 따라 가스공급 안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신흥국의 전원믹스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확대되면서 간헐성을 고려한 전력시스템 안정성 확보 및 인접국가 간의 전력망 설립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에경연 보고에 따르면 대서양 분지에서 아시아로의 천연가스 교역이 세계 천연가스 순수입 증가분의 85%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가스 안보 또한 우려의 대상이 되고 있다. LNG 무역 확대 및 다른 에너지 시스템과의 밀접한 연관성으로 가스의 세계화가 증대되면서 한 지역의 수급 충격이 다른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번 분석결과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LNG) 무역의 확대 및 다른 에너지 시스템과의 밀접한 연관성으로 인해 가스의 세계화가 증대됨에 따라 하나의 지역의 수급 충격이 다른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예기치 않은 수급 충격으로 인해 에너지 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긴급대응을 비롯한 공급안보 강화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지리적으로 아태지역 국가 간 파이프라인을 연결할 가능성은 한계가 있지만, 수요 중심처(demand centr)와 LNG 터미널 간 파이프라인 연결에는 상당한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으로 지적된다. 가스 거래에서 LNG의 점유율 증가는 가스시장에 더 많은 유연성, 투명성, 유동성을 제공해 에너지 안보 강화와 가스 기반시설 투자 증진의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일본은 가스 재판매를 제한하는 목적지 기재 조항을 없애고, 중국과 인도 또한 뒤따르고 있다. 상하이, 싱가포르, 도쿄 등의 도시들은 LNG 거래 허브가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섬을 보유하고 있어 파이프라인 옵션이 적은 국가의 경우, 저렴하고 빠르게 천연가스 공급에 접근할 수 있는 부유식 LNG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전력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아태지역의 경제성장으로 소득수준 향상 및 도시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기기 소유와 냉방수요 증가로 인해 전력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특히 아태지역은 세계에서 가장 재해가 잦은 지역으로, 단기 전력안보는 정전 방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아태지역 IEA 회원국 중 우리나라를 비롯 호주, 일본 등의 경우 지진이나 기상 이변으로 인한 전원공급 문제 처리에 대한 경험을 갖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의 동일 문제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가변적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고려한 전력시스템 안정성 확보 및 인접국 간의 전력망 설립을 통한 전력공급 안보가 필요하다. 증가하는 전력수요를 저탄소 에너지원인 재생에너지를 이용, 충족시키기 위해 신흥국의 전원믹스에서 재생에너지의 비중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인접국 간의 협력을 통한 지역 전력망의 설립은 전력 공급 안보를 강화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복잡한 시스템의 원활한 운영과 조화로운 규제체제 구축의 정치적 의지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에경연 관계자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화석연료 수입 의존도 증가로 에너지 공급원과 공급경로의 다양화를 위해 제도적 연대가 필요하다"며, "세계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상호 연결된 에너지 시스템의 리스크 관리가 핵심 과제"라고 지적했다.

김연숙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