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곳곳에서 어민 반대 "여의도 약 1000배 면적 줄어들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08.07 15:03

-울산 장생포 주민들, 사천시해상풍력발전반대대책위 등이 연일 해상풍력에 반대하는 시위 진행해
-해상풍력발전단지, 전국적으로 16개소가 계획 중이거나 추진 중



clip20190807140326

▲사천시 욕지도 풍력단지 조성반대 대책위원회는 지난 달 2일 사천시 서동 제일제빙 앞 물양장에서 어민 600여명이 모인 가운데 해상 풍력발전단지 조성반대 시위를 벌였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이현정 기자] 전국 곳곳의 해상풍력발전 조성사업단지에서 어민들이 어장 황폐화, 생존권 문제 등을 이유로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사업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법제연구원에 따르면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1만2000MW의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될 경우 해상풍력발전단지 내 통항금지로 인해 여의도(2.9㎢)의 약 1000배 면적에 해당하는 조업구역 축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관련, 경남지역 어민들은 사업이 원천무효될 때까지 집회를 하겠다며 반발하고 있다.

경남해상풍력발전반대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2일 남해군 남해유배문학관 앞 광장에서 어민과 지역 인사 등 1000여명이 모인 가운데 경남어민 생존권 투쟁 결의대회를 열었다. 이날 대회에는 통영시, 거제시,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 고성군 어민들이 참가했다. 이성민 남해해상풍력발전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해상풍력 발전단지는 어장을 망쳐 결국 어업인들의 삶의 터전이 무너진다"며 "연안어업을 죽이고 삶의 터전을 빼앗는 해상풍력 발전소 건설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경남 어민들은 1회성 집회가 아닌 사업이 원천무효가 될 때까지 시위를 계속 할 것임을 밝혔다.

해상풍력발전단지는 경남 통영 욕지도 해상 풍력단지와 통영 소초풍력단지 등 2곳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16개소가 계획 중이거나 추진 중이다. 경남에서 1호로 추진하려는 욕지도 해상풍력단지는 민간사업자인 욕지풍력이 통영 욕지도에서 서쪽으로 8.5㎞ 떨어진 해상에 해상풍력발전기를 설치해 2022년까지 100㎿ 이상 전력 생산단지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울산도 사정이 다르지 않다.

울산 장생포발전협의회와 울산울주공해추방협의회는 지난 6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유식 해상풍력 조성 반대 입장을 밝혔다. 울산 남구 장생포 주민들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고래가 장생포 앞바다로 들어오는 길목인 곳에 풍력발전소를 설치한다면 고래가 사라질 것"이라며 "1986년 포경금지 후 쇠락해 가는 공해마을 장생포가 고래관광으로 조금이나마 활력을 찾고 있으나 하루아침에 몰락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울산시는 1차적으로 2022년부터 동해가스전 인근에 국비 7000억원과 민자 8000억원 등 1조5000억 원을 들여 5메가와트(㎿)급 해상풍력기 50개를 설치해 단지화 할 계획을 밝혔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을 울산의 주력산업인 자동차·조선해양산업의 저조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삼고 사업을 추진해 왔다.

뿐만아니라 지난 4월에는 전북어민 300여명이 주축이 돼 서남해해상풍력단지 건설사업을 반대하는 집회가 열리기도 했다.

김현철 자유한국당 의원은 "정부 정책목표 달성을 위해 어민을 일방적으로 희생시킬 수는 없다"며 "또한 용역에 참여하는 기관들을 면면이 보면 풍력단지 조성 당위성을 주장할 기관만 참여하고 어업피해 실태조사와 해상풍력단지 건설에 따른 문제점 등을 찾아낼 기관은 찾아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현정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