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톡홀름 협상 결렬' 북한, 미국에 강한 불만..."역겨운 회담 원치않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0.07 07:40

미국 "2주 내 실무협상 재개 초청"...북한 "2주 내 새로운셈법 도출 의구심"

▲(사진=AP/연합)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북한과 미국 간 비핵화 협상이 결국 결렬된 가운데 북한 측은 미국의 기대한 대로 2주 안에 실무협상을 재개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북한은 미국을 겨냥한 듯 이번 회담에 강한 불만을 드러내 향후 북미 간 협상 과정에서 험로가 예상된다.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는 6일(모스크바 시간) 모스크바 셰레메티예보 국제공항의 환승 구역에서 미국 측이 기대한 대로 2주 안에 스톡홀름에서 북미 협상 대표가 다시 만날 가능성과 관련 "판문점 수뇌 상봉(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지난 6월말 '판문점 회동') 이후 지금까지 90여일이 지나갔다. 그동안에 오랜 시간이 흘렀는데, 미국 측이 새로운 셈법을 만들어 나오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런데 짧은 2주일 동안에 어떻게 세계적 관심에 부응하는 그런 새로운 셈법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건지 매우 의심된다"면서 단기간 내 협상 재개 가능성에 강한 의문을 드러냈다.

이어 김 대사는 "우리는 이번과 같은 역스러운(역겨운) 회담이 다시 진행되길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 측이나 스웨덴 측과 2주 후 재협상에 대해 얘기한 바 없다고 강조했다. 
    
북미는 4일 예비접촉에 이어 5일 하루 일정으로 실무협상을 벌였으나 북측은 전날 오후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김 대사는 전날 스톡홀름에서 스티븐 비건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회담한 뒤 발표한 성명에서 "협상은 우리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결렬됐다"면서 "이번 협상이 아무런 결과물도 도출되지 못하고 결렬된 것은 전적으로 미국이 구태의연한 입장과 태도를 버리지 못한 데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미국 측이 우리와의 협상에 실제적인 준비가 돼 있지 않다고 판단한 데 따라 협상을 중단하고 연말까지 좀 더 숙고해볼 것으로 권고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미국은 "사실과 다르다"며 적극 반박했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김 대사의 성명 발표 후 3시간여만에 내놓은 발표에서 김 대사의 결렬 선언과 관련, "미국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가져갔으며 북한 카운터파트들과 좋은 논의를 가졌다"며 "북한 대표단에서 나온 앞선 논평은 오늘 8시간 반 동안 이뤄진 논의의 내용이나 정신을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또한 스웨덴 측이 자국에서 2주 이내에 북미 간 실무협상을 재개하는 내용으로 초청을 했으며, 미국은 이를 수락한 뒤 북측에도 수락할 것을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 대사가 미국 측의 이같은 발언을 강하게 부정하면서 향후 북미 실무협상 재개 여부는 또 다시 안갯 속으로 빠졌다. 일단 대화가 시작된 것은 긍정적이나 하노이 회담 이후 다시 북한과 미국이 만나기까지 7개월이 걸렸던 만큼 양측이 비핵화 방법론을 두고 입창 차를 좁히지 않는 한 향후 대화 재개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상 결렬을 두고 워싱턴포스트(WP)는 북한이 최근 미국의 상황 변화에 과도한 기대를 갖고 스톡홀름에 왔을 가능성을 거론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초강경파인 존 볼턴 전 백악관 국가안보관을 해임하고 '새 방법'까지 언급한 데다, 내년 미국 대선이라는 일정표와 트럼프 대통령이 탄핵 조사를 받는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미국의 큰 양보를 기대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채드 오캐럴 코리아리스크그룹 CEO는 "트럼프 대통령이 평탄치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선거전을 앞둔 상황에서 북한은 미국이 재깍거리는 시계와 장거리 미사일·핵 실험에 대한 공포와 결합되면 큰 변화를 불러오리라 기대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에너지경제신문 송재석 기자] 
송재석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