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한빛 3·4호기 '부실시공 의혹'에 "원인 파악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0.21 21:49

[에너지경제신문 전지성 기자] 현대건설이 원자로 격납 건물에서 200개 정도의 공극(구멍) 발견된 한빛원전 3·4호기에 제기된 부실시공 의혹에 대해 원인을 파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원자력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송진섭 현대건설 전무는 증인으로 출석해 "1995년, 1996년에 (두 원전을) 준공했고 그 뒤 5년의 하자보수 기간을 거쳤다"며 "(공극 발생) 원인 분석이 정확히 안 돼 있어서 협의체를 구성했다. 원인을 파악하겠다"고 덧붙였다.

엄재식 원자력안전위원장 역시 "이번 공극의 원인, 문제점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돼 협의체를 구성해 확인해가는 과정"이라고 말했다.

원안위는 17일 현대건설 등과 '한빛원전 3·4호기 격납건물 공극 현안 관련 협의체' 구성에 합의했다고 알려졌다. 협의체에는 한빛 3·4호기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 시공자인 현대건설, 설계사인 한국전력기술, 원안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한국콘크리트학회 관계자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앞서 7월 한빛 4호기 격납건물에서 깊이가 157cm 정도인 초대형 공극이 발견돼 원전 안전이 이슈가 됐다. 국내 원전에서는 총 233개의 공극이 발견됐는데 이중 한빛 4호기에서 97개, 한빛 3호기에서 94개가 나오며 두 원전에 대한 부실시공 의혹이 제기됐다.

전지성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