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가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시기 비경제활동인구(이하 비경활인구)는 1633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8000명(1.0%) 증가한 수치다. 비경활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비경활인구의 연령대별 구성비를 보면 60세 이상(39.2%)이 가장 높았다. 이어 15∼19세(14.6%), 20대(14.6%) 순이었다. 비경활인구 중 대졸 이상은 23.8%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증가했다.
비경활인구를 활동상태로 보면 가사(573만 5000명), 재학·수강 등(370만 8000명), 연로(222만명) 순으로 많았다. 이러한 활동상태 중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수강만을 뽑아낸 ‘취업 준비’는 74만 4000명이었다. 1년 전보다 7만 4000명 늘어난 것이다.
눈에 띄는 부분은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다.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34만 9000명 늘어난 217만 3000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은 2011년 1월(35만 4000명) 이후 8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쉬었음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60세 이상(39.2%), 50대(20.9%), 20대(16.1%), 30대(11.4%)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30대(0.9%포인트), 20대(0.4%포인트)에서 비중이 늘었다. 60세 이상(-2.1%포인트)에서는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8월 큰 폭으로 줄어든 실업자가 취업자와 비경활인구로 나뉘어 들어가면서 쉬었음이 늘었다"며 "쉬었음이 역대 가장 많은 점은 사실이지만 3분기 들어 구직단념자는 감소로 전환했고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확장실업률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활발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경활인구 중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이들의 비중은 20.9%(340만 9000명)로 1년 전보다 4.2%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20대(45.6%)가 가장 높았고, 30대(34.6%), 40대(30.6%) 순이었다.
이들 취업·창업 희망자 중 구체적인 활동 계획이 있는 이들의 비중은 68.0%로 1년 전보다 2.2%포인트 감소했다.
1년 이내 임금근로 취업 희망자의 취업 시 주요 고려 사항은 근무여건(27.9%), 수입·임금수준(26.0%), 자신의 적성 및 전공(24.8%)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 월평균 임금은 200만∼300만 원(40.7%), 100만∼200만 원(35.7%), 300만 원 이상(13.3%) 순이었다.
한편 실업자(구직활동 중)와 비경활인구를 합한 비취업자 1718만 8000명 중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는 이의 비중은 지난 8월 12.3%로 1년 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시간제 희망자 중 전일제 일자리가 있어도 시간제를 희망하는 이의 비율은 50.0%로 1년 전보다 8.6%포인트 뛰었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8월 비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해당 시기 비경제활동인구(이하 비경활인구)는 1633만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15만 8000명(1.0%) 증가한 수치다. 비경활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비경활인구의 연령대별 구성비를 보면 60세 이상(39.2%)이 가장 높았다. 이어 15∼19세(14.6%), 20대(14.6%) 순이었다. 비경활인구 중 대졸 이상은 23.8%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증가했다.
비경활인구를 활동상태로 보면 가사(573만 5000명), 재학·수강 등(370만 8000명), 연로(222만명) 순으로 많았다. 이러한 활동상태 중 취업을 위한 학원·기관 수강만을 뽑아낸 ‘취업 준비’는 74만 4000명이었다. 1년 전보다 7만 4000명 늘어난 것이다.
눈에 띄는 부분은 일할 능력이 있지만 취업 의사가 없는 ‘쉬었음’ 인구다.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34만 9000명 늘어난 217만 3000명으로 2003년 통계 집계를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 폭은 2011년 1월(35만 4000명) 이후 8년 7개월 만에 가장 컸다.
쉬었음의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60세 이상(39.2%), 50대(20.9%), 20대(16.1%), 30대(11.4%) 순이었다.
전년과 비교했을 때 30대(0.9%포인트), 20대(0.4%포인트)에서 비중이 늘었다. 60세 이상(-2.1%포인트)에서는 감소했다.
기획재정부는 "8월 큰 폭으로 줄어든 실업자가 취업자와 비경활인구로 나뉘어 들어가면서 쉬었음이 늘었다"며 "쉬었음이 역대 가장 많은 점은 사실이지만 3분기 들어 구직단념자는 감소로 전환했고 체감 실업률을 보여주는 확장실업률도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이 활발해졌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경활인구 중 향후 1년 이내 취업·창업 의사가 있는 이들의 비중은 20.9%(340만 9000명)로 1년 전보다 4.2%포인트 늘었다. 연령대별 비중을 보면 20대(45.6%)가 가장 높았고, 30대(34.6%), 40대(30.6%) 순이었다.
이들 취업·창업 희망자 중 구체적인 활동 계획이 있는 이들의 비중은 68.0%로 1년 전보다 2.2%포인트 감소했다.
1년 이내 임금근로 취업 희망자의 취업 시 주요 고려 사항은 근무여건(27.9%), 수입·임금수준(26.0%), 자신의 적성 및 전공(24.8%) 등으로 나타났다. 희망 월평균 임금은 200만∼300만 원(40.7%), 100만∼200만 원(35.7%), 300만 원 이상(13.3%) 순이었다.
한편 실업자(구직활동 중)와 비경활인구를 합한 비취업자 1718만 8000명 중 시간제 근로를 희망하는 이의 비중은 지난 8월 12.3%로 1년 전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시간제 희망자 중 전일제 일자리가 있어도 시간제를 희망하는 이의 비율은 50.0%로 1년 전보다 8.6%포인트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