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계 "충남도 기후 비상상황 관련 정책 로드맵 수립 완료"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1.19 18:58
윤수향

▲윤수향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원(왼쪽에서 2번째)이 1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개최된 ‘기후위기선언 국회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최윤지 기자] 충청남도와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가 기후 비상상황 선포와 관련해 ‘더 행복한 미래를 기후시민과 함께하는 기후 안심 충남’을 목표로 3대 부문· 5대 분야·11대 정책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고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수향 충남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원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의사당에서 19일 개최된 ‘기후위기선언 국회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22일 충남도가 기후 비상상황 선포문을 발표한 이후 관련 로드맵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충남도는 지난달 22일 ‘2019 탈석탄 기후변화 대응 국제 콘퍼런스’를 열고 기후 비상상황 선포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 자리에서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기후 변화가 아닌 기후 위기로 정책 대응 수준을 강화하고, 2050년까지 석탄 발전량 제로화와 재생에너지 발전량 47.5% 확대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 연구원은 "여러 언론과 전문가들이 기후 비상상황 선포 이후 충남도의 귀추를 주목하고 있다"며 "충남도가 침묵하고 가만히 있었던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어느 정도 로드맵은 수립됐지만, 로드맵을 고도화하는 과정에 있으므로 공식적인 자료를 내보내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윤 연구원은 기후 비상상황 선포와 관련한 충남도와 충남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의 정책 로드맵을 최초로 소개했다. 그는 "충남도는 기후 비상상황과 관련해 목표를 먼저 수립했다"며 "목표는 ‘더 행복한 미래를 기후시민과 함께하는 기후 안심 충남’이며 3대 부문·5대 분야·11대 정책을 세부적으로 수립했다"고 밝혔다.

윤 연구원에 따르면 3대 부문은 기후변화대응, 대기질개선, 기후행동시민양성 등이다. 세부적으로 기후변화대응 부문을 하위단위에서 완화와 적응으로 구성하고, 대기질개선 부문에서는 배출량 관리, 대기오염저감 부문 등 이슈에 집중할 예정이다. 기후행동시민양성 부문에서는 문자 그대로 기후 비상상황에서 행동하는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윤 연구원은 "기후 비상상황과 관련해 정책을 수립하고 그 정책에 맞춰서 각각의 추진전략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지에 대해서도 수립해뒀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충남도와 협의하면서 네이밍 변경 등 세부사항 변경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며 "실질적이고 지속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기 위해 충남도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충남도가 기후 비상상황 선포를 하게 된 배경에 대해 윤 연구원은 과학적 근거를 들었다. 윤 연구원에 따르면 충남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에서 미래예측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2050년과 2100년 서해의 침수 면적이 동·남해보다 20배 이상 넓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현재의 탄소 배출 기준으로 2100년의 기온·강수량 등 기후요소를 분석했을 때 특히 충남지역의 폭염일수는 전국 평균 13.8일 이상, 열대야일수는 3일 이상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윤 연구원은 "이러한 수치들은 온실가스 감축 정책을 실현했을 경우 충남도에서 효과가 크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 자료"라며 "충남도에서는 기후대응정책의 필요성을 타 지자체보다 더 느끼고 있어 기후 비상상황에 대해 선제적으로 선포하게 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충남도는 기후 비상상황과 관련한 로드맵을 체계화한 후, 세미나 등을 통해 이를 별도로 발표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윤 연구원은 "구체적 발표 일정은 미정"이라며 "현재 지속해서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윤지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