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형 불황에...기업 64.6%, 내년 '긴축경영' 계획 세웠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19.12.08 15:15

[에너지경제신문=윤하늘 기자] 국내 기업 64.6%가 현재 경기상황을 '장기형 불황'으로 판단하면서 그 중 절반 가량은 내년에 ‘긴축경영’ 계획을 세웠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8일 ‘2020년 기업 경영 전망 조사’를 발표하고 현재 경기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64.6%가 ‘장기형 불황’이라고 답했다고 밝혔다.

설문 조사에서 ‘일정 기간 경기저점을 유지한 뒤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19.2%, ‘경기 고점 통과 후 점차 하락’이라는 답은 13.1%였다. ‘경기 저점 통과 뒤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는 답은 2.4%에 불과했다.

기업들이 예상한 내년 경제성장률(국내총생산(GDP) 기준)은 평균 1.9%로 집계됐다. 응답 기업 중 가장 많은 43.9%가 1.5∼2.0%, 38.0%가 2.0∼2.5%로 내다봤고, 17.1%는 1.5% 이하를, 1.0%는 2.5% 초과를 예상했다.

이에 절반 가까운 기업이 투자를 축소하고 인력을 조정하는 등 긴축경영을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주된 경영계획 기조로는 가장 많은 47.4%가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했고, 현상 유지는 34.1%, 확대 경영은 18.5%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기업은 50.0%, 300인 미만 기업은 46.5%가 긴축경영을 계획한다고 했다.

연도별 경영계획 기조 추이를 보면 2016∼2017년 긴축경영에서 2018년 현상 유지로 바뀌었다가 올해 다시 긴축경영으로 돌아섰으며 내년에도 긴축경영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조사됐다.

▲현 경기 상황 평가 그래프. (자료=한국경영자총협회)


긴축경영의 구체적 조치로 전사적 원가 절감(29.0%)과 인력 부문 경영합리화(25.0%)를 계획하는 기업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신규투자 축소(15.3%)와 사업 부문 구조조정(13.7%) 등이 뒤를 이었다.

내년 투자계획도 축소가 39.4%로 가장 많았다. 올해 수준은 38.6%, 확대는 22.0%에 그쳤다.

기업 규모별 투자계획은 300인 미만 기업의 경우 올해 수준이 39.8%로 가장 많았지만, 300인 이상 기업은 축소가 44.1%로 가장 많아 대기업이 더 소극적이고 보수적인 것으로 집계됐다.

내년 채용계획은 45.2%가 올해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축소하겠다는 기업은 35.6%, 확대하겠다는 곳은 19.3%였다.

내년 경영환경의 주된 애로 요인으로는 노동정책 부담(최저임금 인상·근로시간 단축)을 꼽은 응답자가 33.4%로 가장 많았다. 내수 부진(29.1%), 대외여건 불확실성(16.8%), 기업규제 강화(10.3%) 등이 뒤를 이었다.

300인 이상 기업은 내수 부진(31.0%)이 가장 큰 부담이라고 했고, 300인 미만 기업은 노동정책 부담(36.6%)이 제일 크다고 답했다.

내년 영업이익(실적)이 올해보다 증가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은 15.2%에 그쳤고, 감소할 것이라는 답이 48.5%에 달했다. 36.3%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주력 사업이 향후 주요 수익원으로 가능한 기간에 대한 질문에는 30.2%가 3∼5년이라고 밝혀 가장 많았고, ▲1∼3년 23.9% ▲10년 이상 21.0%, ▲5∼7년 13.2% ▲7∼10년 7.8% 등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0∼29일 경총 회원사와 주요 기업 206곳을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300인 미만 기업이 162곳으로 78.6%를 기록했다

윤하늘 기자 yhn7704@ekn.kr.

윤하늘 기자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