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 사태로 여행객의 발길이 끊기면서 인천공항 면세점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서예온 기자] 정부가 인천국제공항 상업시설에 입점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임대료도 20% 이상 감면해주기로 했다. 대기업 면세점 업체들은 정부의 발표를 환영하면서도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매출 타격이 큰 만큼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는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인천공항 상업시설 사용자에 대한 추가 지원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임대료 감면률을 25%에서 50%로 높이고,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임대료를 20% 감면하기로 했다. 임대료 지원책은 공항이용객수가 지난해 대비 60%에 도달할 때까지 최대 6개월간 한시 적용된다.
정부가 추가 임대료 지원을 발표한 것은 코로나19 여파로 항공편 운항 중단이 확산되면서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매출 타격이 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 대기업 면세점의 3월(1~19일) 공항 매출은 지난해보다 80~90% 감소했다. 이 때문에 대기업과 중견면세점은 인천공항의 임대료 인하가 절실하다고 호소해왔다.
대기업 면세점은 정부의 이번 공항 임대료 지원에 대해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대기업 공항 면세점 관계자는 "20% 감면도 감지덕지"라며 "숨통이 트이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다만 면세점업계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매출 타격이 크고, 코로나 사태가 언제 끝날지 알수 없는 만큼 추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또다른 대기업 인천 공항 면세점 관계자는 "공항 이용객 감소로 인한 면세점의 어려움을 이해해주신 결정에 고마움을 느낀다"면서 "하지만 매출의 90% 이상이 감소해 임차료가 매출의 몇배가 되는 현실을 반영해 추가적 감면이 이뤄지기 바란다"고 말했다.
임대료 산정 방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기업 인천공항 면세점 관계자는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코로나 등 예측하지 못한 돌발변수들이 계속 터지면서 공항 면세점들은 불안하다"며 "이번 임대료 감면을 계기로 임대료 산정방식이 개선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