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증권부 김아름 기자
![]() |
'디지털 시대' 도래는 예견된 일이었다. 다만 그 시기에 대한 추측이 난무할 뿐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그 시기가 성큼 우리 앞으로 다가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라는 감염증 확산이 그것이다. 바야흐로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해야 할 시기다. 경제 전반으로 여럿 산업군이 디지털을 앞세운 서비스와 시스템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 누가 먼저 개발에 성공, 안정 궤도에 접어드느냐가 시장 선점에 중요 기준이 됐다. 이러한 흐름은 금융업계도 예외는 아니다. 은행과 보험, 카드사 모두 어느 것 하나 빼놓을 것 없이 ‘디지털 시대’ 준비에 분주하다.
최근 우리 삶에 자리한 디지털 기술 가운데 하나는 언택트, 즉 비대면을 활용한 기술과 서비스 등이다.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커지면서 직접 만나지 않고 업무를 처리하기 것에 대한 선호가 높아진 탓이다. 그렇다 보니 업계에서도 앞으로 비대면 서비스와 기술 개발 등은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더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을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허나 염려되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디지털 소외 계층에 대한 배려’ 이다. 갈수록 많은 금융상품이 비대면으로 옮겨가고 있으나, 정작 디지털에 접근이 쉽지 않은 계층을 위한 이렇다 할 서비스 마련 등은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자연스럽게 디지털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 목소리도 나온다.
간편한 것은 사실이나, 내용만으로 이해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편리함 만큼 친절한 설명을 아쉬워하는 것이다.
물론 시대 변화에 따라 기술 또한 발전하고 서비스 이용도 바뀔 수 밖에 없다. 이에 대한 비중을 줄여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모든 변화에도 단계는 존재하듯, 앞을 보고 나아가는 것 만큼 서비스 이용에 소외된 사람이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많은 금융업계가 디지털 혁신에 들이는 노력 만큼 디지털 소외 계층을 위한 대안이나 방책 또한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