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금융당국이 증권사들이 증권사로부터 매수대금을 빌릴 때 적용하는 고금리 신용융자 금리를 합리화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금리산정 방식을 투명화, 객관화하고, 가산금리 산정 방식을 주기적으로 공시해 금리 산정 방식을 투명화, 객관화하는 쪽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전해졌다.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투자협회와 ‘금융투자회사의 대출 금리 산정 모범 규준’ 개선을 위한 막바지 논의 단계를 밟고 있다.
현재 증권사들은 금투협의 모범 규준에 따라 회사별로 이자율을 산정하고 있다.
해당 모범 규준은 조달금리와 가산금리를 구분한 뒤 각 회사가 ‘합리적 기준’에 따라 산정하라고만 돼 있다.
이러한 모험규준을 근거로 증권사들은 30일 이하 단기금리로는 4~7%대, 91일 이상 장기금리로는 7~9%대를 매기고 있다.
그러나 투자자들이 신용융자 금리 산정 근거를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당국은 금리 산정에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사실상 ‘깜깜이’ 금리 산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에 금투협을 통해 증권사들의 금리 산정 개선 방식과 관련한 의련 수렴 과정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금리산정 방식이 바뀔 경우 신용융자 금리도 일정 부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만일 이자율이 내려갈 경우 증권사들 수익에도 다소 타격이 불가피하다.
KB증권에 따르면 신용공여 이자율이 0.5%포인트 인하되면 자기자본 상위권인 증권사들은 수익이 100억원가량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