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합뉴스. |
2일 국회 교육위원회 배준영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2016∼201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현황’ 자료에 따르면 평가 기준학년인 고2 학생의 국·영·수 평균점수가 ‘보통 학력’ 이상인 경우는 지난해 73.9%에 그쳤다.
이 수치는 2016년 82.8%에서 2017년 77.5%, 2018년 77.5% 등으로 낮아지고 있다.
반면 같은 시험에서 ‘기초 학력 미달’로 평가받은 학생 비율은 2016년 4.6%에서 2017년 6.3%, 2017년 6.7%, 지난해 5.5% 등으로 줄지 않고 있다.
특히 수학 과목은 학력 저하 수준이 심각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과목에서 ‘보통 학력 이상’으로 평가받은 고2 학생 비율은 2016년 78.2%에서 2019년 65.5%로 12.7%포인트 감소했다.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은 2016년 5.3%에서 2019년 9.0%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배준영 의원은 "교육부는 학생들의 학력 수준 향상을 위해 교육 격차 해소 등 대책을 내놔야 한다"며 "특히 학생 10명 중 1명이 낙제점을 받은 수학 과목에 대해서는 교육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