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희건설 사옥 전경. |
[에너지경제신문 윤민영 기자] 서희건설의 채무보증이 갈수록 늘고 있다. 타 건설사들이 코로나19 사태 확산과 경기침체에 따른 리스크 관리를 위해 채무보증을 빠르게 줄이고 있는 것과는 반대의 행보다. 지역주택조합사업에 치중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상황이지만 자기자본대비 채무보증 비율이 1348%에 달해 재무구조 부실의 우려가 나온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서희건설의 채무보증 총 잔액은 28일 기준 5조3182억원이다. 용인보평 3080억원, 경산서희 2400억원, 대구내당3지구 2386억원 등 올해에만 전국 15개 지역주택조합 사업장에서 총 1조8833억원의 채무보증을 결정했다. 지난해에는 13개 사업장에서 총 1조5112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진행했다.
서희건설의 채무보증 금액은 2017년 6506억원 이후 2018년(1조398억원)부터 매년 1조원 이상 늘어나고 있다. 최근 3년간 늘어난 채무보증액이 전체의 83.4%를 차지한다. 반면 자기자본금액은 3944억원에 불과하다.
채무보증 금액이 늘어난다는 것은 그만큼 서희건설이 지역주택조합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는 증거지만 기업의 신용등급에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역주택조합사업은 자금력이 충분하지 못해 중도금대출보증이나 연대보증이 불가피한 사업 구조를 갖고 있어서다.
기업 신용평가업계 한 관계자는 "채무보증이 기업 신용도에 미치는 영향은 보증기관과 대상, 목적에 따라 다르다"며 "그러나 일반적으로 채무보증은 우발부채로 연결되므로 부채가 많을수록 신용등급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서희건설은 지역주택조합에만에 편중된 사업구조를 벗어나기 위해 자체 시행, 공공지원 민간임대, 정비사업, 환경 분야 사업에도 손을 뻗쳤다. 그러나 지역주택조합 사업 외에는 뚜렷한 성과가 없는 상황이다. 올해 신규 수주 계약금액은 1조3477억원인데, 내당3지구(2393억원), 화성신남(3033억원), 용인보평(2964억원) 등 지역주택사업 7개를 통해서 달성했다. 지난 2018년에도 3개 사업장에서 총 3900억원을 수주 했는데 모두 지역주택조합사업이었다. 이 때문에서 업계에서는 올해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이 수주목표를 4조원으로 제시했지만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채무보증 경감의 척도가 되는 분양사업도 난항이다. 한국감정원 청약홈에 따르면 서희스타힐스는 올해 6개 사업장에서 총 722가구를 일반분양했다. 현재 청약을 진행 중인 군자 서희스타힐스를 제외하더라도 용인 명지대역 서희스타힐스(253가구), 김해 무계서희스타힐스(45가구), 칠곡북삼 서희스타힐스(30가구) 등 총 328가구의 미분양을 안고 있다. 이는 전체 일반분양 물량의 45%에 달한다. 일반분양분은 조합원 물량을 제외하고 전체의 30% 미만에 불과하지만 채무보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미분양을 없애는 것도 중요한 상황이다.
서희건설 관계자는 "지역주택조합은 조합원들로 인해 전체 물량의 70% 분양을 확보한 상태에서 착공에 들어가기 때문에 공사비 등 자금 확보에는 문제가 없다"며 "현재 서희건설의 평균 분양률은 수도권의 경우 80%, 지방의 경우 70% 정도 나오고 일반분양분은 미분양이 나더라도 리스크 보다는 추가 수익의 개념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