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통일운동가 백기완 선생 별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1.02.15 15:03
민주화·통일운동가 백기완 선생 별세

고 백기완 선생

▲고 백기완 선생

[에너지경제신문 최지혜 기자]민주화운동과 통일운동에 평생을 바쳐온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장이 15일 별세했다. 향년 89세.

서울대병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1월 폐렴 증상으로 입원해 투병생활을 해온 백 소장이 이날 오전 세상을 떠났다. 1933년 황해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에서 태어난 그는 1950년대부터 농민·빈 민·통일·민주화운동에 매진하며 한국 사회운동에 앞장섰다.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의 가사 원작자로 잘 알려진 백 소장은 초등학교 졸업이 학력의 전부지만 분단으로 가족이 뿔뿔이 흩어지는 비극을 겪으며 독학으로 통일 문제와 사회 모순에 대한 인식을 키워나갔다. 문맹 퇴치를 위한 야학에 참여하던 중 1960년 4·19혁명에 뛰어들었고, 이후 1964년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함석헌·계훈제·변영태 등 재야 운동가들과 함께 참가했다. 독립운동가이자 재야 정치인인 고(故) 장준하 선생(1915∼1975)과는 백범사상연구소 설립과 민족학교 운동도 전개했다.

1974년에는 유신 반대를 위한 1백만인 서명운동을 주도하다 긴급조치 위반으로 투옥됐고, 1979년 ‘YMCA 위장결혼 사건’과 1986년 ‘부천 권인숙양 성고문 폭로 대회’를 주도한 혐의로도 체포돼 옥고를 치렀다. 1987년 대선에서는 독자 민중후보로 출마했다가 김영삼·김대중 후보의 단일화를 호소하며 사퇴했고, 1992년 대선에도 독자 후보로 출마했다. 이후에는 자신이 설립한 통일문제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해왔다.

2000년대 들어서도 비정규직·해고 노동자들의 전국 투쟁현장을 비롯해 이라크 파병 반대운동,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반대운동, 용산참사 투쟁, 밀양 송전탑 반대운동, 이명박 정권퇴진운동, 민중총궐기 등에 참여했고 다치기도 했다.

민주수호청년협의회(1971), 백범사상연구소(1972), 민주수호국민협의회(1973), 장준하선생암살진상규명위원회·민주회복구속자협의회(1975) 창립을 주도했다.

‘장산곶매 이야기’ 등 소설과 수필집을 낸 문필가이자 이기도 하다. ‘항일민족론’(1971), ‘자주고름 입에 물고 옥색치마 휘날리며’(1979), ‘백기완의 통일이야기’(2003),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2009), ‘두 어른’(2017) 등 평론·수필집을 비롯한 다수의 저작을 남겼다.

장례식은 사회장으로 치러진다. 유족으로는 부인 김정숙씨와 딸 백원담(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 교수)·백미담·백현담, 아들 백일씨가 있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1호실이며 발인은 19일 오전 7시, 장지는 경기 성남 모란공원이다.



정훈식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