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광물자원공사(왼쪽)와 한국광해관리공단 본사 |
통합 공단은 이에 앞서 다음달 말 이사장 등 임원 선임 절차에 돌입할 것으로 전해졌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새 통합법인 한국광해광업공단의 초대 기관장, 상임감사, 비상임이사 등 임원을 선출하기 위한 임원추천위원회가 다음달 말 구성될 예정이다.
광해광업공단은 관련법 시행일에 맞춰 9월 10일 출범을 목표로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지난달 한국광해광업공단법이 공포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달부터 공단설립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산업부 차관을 위원장으로 두 기관의 본부장과 조직·회계·법률 민간 전문가 등 총 15명으로 꾸려진 공단설립위는 광해공단과 광물공사의 해산과 신설 공단 설립 및 출자 사무 등에 관한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새 통합법인 설립을 앞두고 초대 기관장에 대한 관심도 높다. 공단 출범까지 4개월 남짓 남아있어 초대 기관장을 모시기 위한 물밑 작업도 한창이다.
광해광업공단법에 따르면 공단 설립과 동시에 한국광해관리공단과 한국광물자원공사 기관장들은 그 임기가 끝나기 때문이다.
이청룡 광해공단 이사장은 3년 임기가 다음달 10일 만료되지만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1년 연임 통보를 받아 통합공단 출범 때까지 재임할 예정이다.
황규연 광물공사 사장은 두 차례의 공모절차를 거쳐 광물공사 사장 2년 9개월의 장기 공백을 끝내고 지난달 9일 취임했다.
통합공단 임원 선임 절차가 이처럼 공식 출범 4개월여 앞서 시작되는 것은 통합공단의 재무구조 개선과 조직 안정 등 시급한 현안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광물공사의 경우 2016년 자본잠식 이후 눈덩이처럼 불어나 현재 7조원에 이르는 부채 규모 축소와 해외 광산 매각 등 자산 처리 방향이 숙제로 꼽힌다.
현재 공공기관장 임명은 ‘공공기관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임추위가 후보자를 공개 모집해 추천하면 기획재정부 공공기관운영위원회 의결을 거쳐 감독 소관 부처 장관의 제청과 대통령의 임명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다.
초대 기관장이 누가 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도 높다. 광해공단과 광물공사를 통합해 탄생하는 공단을 운영해야 하는 자리인 만큼 국내 자원수급과 자원개발 역량의 미래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새 이사장 자리에 현재 각 기관의 수장인 이청룡 이사장과 황규연 사장이 오르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공공기관 경영과 광물 지식, 자원안보에 대한 국제 흐름 등을 총망라할 수 있는 전문가가 초대 기관장에 올라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쏠린다. 이청룡 이사장은 삼일회계법인 부대표를 지낸 회계 전문가이고 황규연 사장은 산업부와 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을 거친 관료 출신이다.
특히 광해광업공단에는 광해관리공단과 광물공사에 속하는 모든 재산과 채권ㆍ채무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광물공사의 부채 상황을 해결하면서 자원 안보를 지킬 수 있는 전문가가 초대 기관장으로 자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광물공사의 경우 대규모 해외자원개발 사업이 부실로 지난 2016년부터 완전자본잠식에 빠졌다. 부채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6조9000억원으로 7조원에 달해 파산 가능성까지 제기돼왔다.
광물공사가 부채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해외 광산을 매각하려 하지만 이를 두고 자원 안보 위협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매각을 추진하는 해외 광산은 최근 수요 폭발로 가격이 급등하는 니켈·코발트·구리 등 앞으로 떠오르는 전기차와 친환경 사업의 핵심 원자재 광물들이 매장된 곳이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통합법인인 광해광업공단은 광물공사의 부채 상황을 해결하면서 국내 자원 경쟁력을 기르는 게 중요한 역할"이라며 "지금 전 세계적으로 자원 확보 경쟁이 치열한 만큼 자원 안보·확보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내부 인사든 외부 인사든 지속가능한 계획으로 현 상황을 돌파할 수 있는 인물이 필요하다"며 "광물공사의 부채도 해결하면서 우리나라가 자원 확보에 밀리지 않도록 장기 계획을 두고 광물 사업을 이끌어 가야 하는 자리"라고 강조했다.
claudia@ekn.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