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3사, 생산 안정성·원가 절감 등 소재 내재화 주력
|
▲LG화학 중국 우시 양극재 공장. 연합 |
23일 업계에 따르면 ‘K배터리’ 3사는 양극재, 분리막, 동박 등 배터리 핵심 소재를 자체 조달하는 내재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소재 내재화는 배터리 생산 안정성을 높이고 원가를 낮춘다는 장점이 있다.
LG화학은 핵심 소재를 자체 생산해 배터리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에 공급하는 수직 계열화를 강화하고 있다. 최근 동박 제조사인 중국 지우장 더푸 테크놀로지에 400억원 규모로 지분을 투자하기로 결정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올해 초에는 LG에너지솔루션이 솔루스첨단소재(전 두산솔루스) 유럽법인에 575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LG화학은 또 배터리 원가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인 양극재 생산 능력을 2026년까지 현재의 7배인 26만t 규모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운 상태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부터 청주 공장에 3만t 규모의 신규 증설을 진행 중이다.
삼성SDI는 양극재 내재화율을 기존 20% 수준에서 2023년까지 5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삼성SDI는 양극재 제조 자회사인 에스티엠을 두고 있으며, 지난해 11월 양극재 전문 기업 에코프로비엠과 함께 합작 법인 ‘에코프로이엠’ 건설에 돌입했다.
합작공장은 2022년부터 연간 3만 1000t 규모로 양극재를 생산해 삼성SDI에 단독 공급한다. 2024년까지 생산량을 18만t으로 늘리고 이후 증설에도 돌입할 예정이다. 삼성SDI는 또 한솔케미칼과 함께 내년부터 실리콘 음극 활물질을 양산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진다.
SK이노베이션도 양극재 자체 생산에 합류하며 경쟁에 가담한다. SK이노베이션은 중국 배터리 기업 EVE에너지, 소재 전문 기업 BTR 등과 공동 투자해 양극재 생산 합작 법인을 설립하기로 했다. 중국 현지에 건설되는 양극재 공장의 생산 능력은 연산 5만t 규모로 알려졌다.
SK이노베이션의 소재 사업 자회사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분리막 생산 능력을 올해 말 13억 6000㎡, 2024년까지 27억 3000㎡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목표다. SK아이이테크놀로지는 현재 국내와 중국, 폴란드에 공장을 가동 중이다.
K배터리가 글로벌 시장에서 영토를 확장해 나가고 있는 영향으로 SK넥실리스, 포스코케미칼, 솔루스첨단소재, 에크프로비엠, 엘앤에프 등 배터리 소재업체들도 국내외에서 증설·신설 등 투자를 강화하는 모양새다.
yes@ekn.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