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AR 플랫폼 기업 맥스트는 지난 20일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의 상장 예비심사를 통과, 이달 중으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나금융투자가 상장 주관사로, 맥스트는 이번 코스닥 상장을 발판 삼아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메타버스 사업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메타버스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맥스트는 AR 기술을 바탕으로 이러한 흐름에 맞춰 빠르게 성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신사업인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으로 2020년에는 VPS(Visu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상용화했다. 해당 기술로 코엑스 일대를 중심으로 한 '공간기반 AR 플랫폼'을 구축했으며, 올해에는 과기부 XR 메타버스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서울 창덕궁 및 북촌 한옥마을 일대를 중심으로 'XR 메타버스 플랫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올해 출범하는 '메타버스 얼라이언스' 및 '메타버스 작업반'에도 참여하고 있고, 정부의 가상융합경제 전략에 맞춰 신시장 개척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박재완 맥스트 대표는 "이번 상장을 통해 디지털 뉴딜의 핵심인 메타버스 사업을 가속화할 예정"이라며 "앞으로 펼쳐질 가상융합경제 산업의 선도기업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받을 수 있도록 기업공개 과정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맥스트는 지난 2010년에 설립되어 증강현실(AR) 원천 기술 확보 및 국산화에 집중해 온 기술 전문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AR 개발 플랫폼 상용화에 성공했다. 전 세계 50개국 1만 2천여 개발사에 배포했으며, 6,000여 개의 AR 앱이 해당 플랫폼을 통해 시장에 출시됐다.
작년부터는 중소기업용 AR 솔루션 맥스워크(MAXWORK)를 출시해 스마트팩토리 제조혁신 사업에 집중하고 있으며, 삼성전자, 현대차,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대기업과 산업용 AR 솔루션 사업도 진행 중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