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아시스마켓과 메쉬코리아 직원이 퀵커머스 합작 법인 설립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
19일 이동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퀵커머스 등 유통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한다. 배달의민족과 쿠팡이츠 등 플랫폼업체를 비롯해 대형유통업체가 진출한 퀵커머스 서비스의 현황과 골목상권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디지털 전환 지원 및 합리적 관리방안 등 정책방향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 같은 산업부의 연구용역 착수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퀵커머스가 골목상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 의원은 지난 5일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배달플랫폼과 이커머스 업체들이 배송시간 단축 경쟁을 벌이며 골목으로 침투하고 있다"며 "퀵커머스는 전자상거래 형태지만, ‘특정권역에서의 근거리 배송’이란 점에서 일반 소매업종과 경합한다. 상권영향평가 등 최소한의 제도적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달의민족 B마트와 쿠팡이츠마트로 대표되는 퀵커머스는 도심이나 주택가 인근에 마이크로풀필먼트센터(MFC)를 설치하고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주문을 받아 소비자와 가장 가까운 센터에서 대략 1시간 이내에 상품을 배달하는 서비스다. B마트는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30여개 MFC를 운영 중이고, 쿠팡이츠마트는 최근 송파구에서 시범 서비스를 시작했다.
유통대기업도 기존의 오프라인 매장을 MFC로 활용하는 모습이다. GS리테일, CJ올리브영은 GS25와 올리브영 매장을 거점으로 퀵커머스 서비스를 시작했고, 롯데쇼핑, 홈플러스, 이마트, 현대백화점 등도 대형마트와 백화점을 기반으로 온라인 판매와 근거리 배송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이에 산업부는 이번 연구용역의 과제로 △풀필먼트, 퀵커머스 등 유통 시장의 변화 트랜드 및 전망 △퀵커머스 등 온라인 유통이 중소유통 등 오프라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실증 분석 등 포함) △유통산업의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 검토 등 설정했다.
이 의원은 "퀵커머스는 기존 인식을 뛰어넘는 빠른 배송으로 온라인 유통과 오프라인 유통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있다"며 "이러한 변화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과 골목상권과의 경합성 등을 이번 연구를 통해 자세히 검토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pr902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