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라고 했지?”…트럼프 ‘힌트’ 후 S&P500 18% 올랐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5.14 14:39
epaselect SAUDI ARABIA USA INVESTMENT FORUM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EPA/연합)

뉴욕증시를 대표하는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500(S&P500) 지수가 지난달 저점을 찍은 후 급등에 성공한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식을 사라고 언급한 직후 이같은 V자형 반등이 본격 시작돼 주목받고 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S&P500지수는 전장보다 0.72% 오른 5886.55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날 상승으로 S&P500 지수의 연간 상승률은 0.08%를 기록,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이 본격화하던 지난 3월 이후 처음으로 플러스로 전환했다.


상호관세 발표 이후의 저점(4월 8일·4982.77)을 기준으로 하면 이날까지 18% 가량 급등한 것이다.



이같은 상승세는 공교롭게도 트럼프 대통령이 주식을 사라고 강하게 권유한 이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9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지금이 매수하기 좋은 시기"라고 적었다.


그러나 몇 시간 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유예한다고 발표하자 S&P500 지수는 이날 9.52% 치솟으며 2008년 이후 하루 최대 상승을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미 백악관에서 영국과 무역 합의 내용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지금 당장 나가서 주식을 사라"며 “이 나라 (경제는) 마치 위로 솟아오르는 로켓과 같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미국과 중국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상대국에 대한 고율의 관세를 대폭 낮추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지난 12일 발표되자 S&P500 지수는 3.26% 치솟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SNS를 통해 주식 매수를 권유한 것을 두고 일각에선 주가 조작이란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그의 조언을 따랐던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 집권 하에 최고의 상승 랠리를 누렸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블룸버그가 분석한 결과 지난달 9일 이후 21일 거래일 간 S&P500 지수의 누적 상승률은 13.7%에 달했는데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일어났던 반등을 제외하고 가장 큰 상승폭이다.


블룸버그는 “세계 정상들이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금융과 관련해 조언하는 것은 드문일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게시물은 전 세계 투자자들이 꼭 읽어야 할 글이 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 픽텟 자산운용의 아룬 사이 선임 다사잔 전략가는 “트럼프 풋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면서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않을 것. 그의 행보가 특이한 것은 사실이지만 궁극적으로는 시장이 백악관의 일종의 안전장치를 가격에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S&P500 강세론자 대열에 조금씩 합류하는 분위기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매크로 리스크 어드바이저의 존 콜로보스 수석 기술 전략가는 사상 최고가인 6144(2월 19일)전 까지 S&P500 지수에 중대한 저항선이 없다고 짚었다.


그는 “S&P500 지수가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 거래되고 있다는 것은 흐름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는 또다른 신호"라며 “이는 급락이 나타났을 때 매수 수요·관심이 증가할 확률을 높이며, 약세장이 끝났다는 신호를 알리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에드 야데니와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코스틴 등도 S&P500가 연말까지 6000선을 넘어설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반면 UBS 글로벌 웰스 매니지먼트의 마크 하펠레 수석투자책임자(CIO)는 S&P500 지수가 지난달 저점 이후 강하게 반등하자 리스크 대비 보상에 균형이 잡혔다며 미국 주식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MJP의 브라이언 벤디그 최고 투자책임자도 최근 야후파이낸스에 “아직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한 상황이며, 주식을 강력히 매수할 시기는 아니라고 본다"며 “단기적으로 변동성은 사라지지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미국과 중각이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가장 큰 리스크는 시간"이라며 “향후 60일 동안 상황이 적절하게, 혹은 효율적으로 진전하지 않을 경우 수요에 대한 심리적 우려와 재고가 미국 경제에 최대 리스크로 떠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