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계획 뜯어보니 배터리·바이오·반도체·에너지·ESG 집중
11개 그룹, 국내GDP 절반이상 규모 투자…규제 완화에 화답
직접채용만 33만명 규모…협력사 등 중기에 낙수효과 기대
▲삼성전자 직원이 반도체 레이저 설비를 살펴보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최근 발표한 ‘통큰 투자’의 키워드는 ‘배터리(Battery), 바이오(Bio), 반도체(Chip), 에너지(Energy), 환경(ESG)’으로 요약된다는 분석이다. 기존 사업의 역량을 더욱 강화하고 새 먹거리에 대한 기술력을 확보하는 차원이다. 이로 인해 채용 시장에 활기가 돌고 중소기업들의 낙수효과까지 기대되는 만큼 정부가 어떤 형태로 지원사격을 해줄지도 관심사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대기업들은 윤석열 정부 출범을 계기로 대규모 투자 계획을 내놨다.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5대그룹을 포함해 11개 그룹사에서 5년간 투자하기로 한 금액만 1060조원이 넘는다. 작년 기준 우리나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2057조 4478억원)의 51.5%에 달하는 수준이다.
가장 많은 돈이 투입되는 분야는 단연 반도체(CHIP)다. 재계 1·2위인 삼성그룹과 SK그룹은 향후 5년간 각각 450조원, 247조원을 투자한다고 밝혔다. 양사 모두 이 중 절반 가량은 반도체 역량 강화에 쓸 전망이다. 삼성의 경우 "선제적 투자·차별화된 기술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을 주도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SK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특수가스와 웨이퍼 등 소재·부품·장비 설비 증설 등에 142조 2000억원을 쓰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이미 ‘쩐의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B‘(배터리), ‘B’(바이오) 역시 주요 격전지가 될 것으로 보인다. LG그룹의 경우 2026년까지 국내에만 106조원을 투자한다고 선언했는데, 이 중 10조원 이상은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 분야에 투입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 충북 오창공장에서 원통형 배터리 등을 생산하고 전고체 전지, 리튬황전지 등 차세대 제품 개발에 집중한다는 구상이다. 삼성과 SK 역시 배터리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는 만큼 이 분야에 대규모 투자를 집행할 방침이다.
바이오는 삼성이 점찍은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이다. 바이오 위타개발생산(CDMO)에서 현재 건설 중인 4공장에 이어 5·6공장 건설에 나서는 등 더욱 공격적으로 움직인다는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확대 등을 통해 ‘제2의 반도체 신화’를 이룬다는 게 삼성 측 목표다. SK, LG 등도 바이오 사업 역량 강화에 적극적이다. 롯데의 경우 최근 시장 진출을 선언하고 본격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E‘(에너지) 시장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새로운 트렌드를 주도한다는 전략을 짜고 있다. 자원을 바탕으로 이뤄지던 기존 시장 틀을 넘어 소형모듈원자로(SMR), 수소 등 기술력으로 새 지형도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E’(ESG)는 대부분 기업들이 투자를 늘려나가고 있는 분야다. 국내 대기업들은 탄소중립에 대한 대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각종 활동 등에 최근 힘을 쏟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SK그룹은 전기차 배터리, 수소, 풍력,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미래 산업에 67조 4000억원을 사용하기로 했다.
고용이 대거 창출된다는 점도 ESG 경영의 일환이라는 평가다. 재계에서는 기업들의 이번 신규 투자 발표를 통해 33만명 이상의 직접 채용이 이뤄질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삼성, SK, 현대차, LG, 롯데 등 5대 그룹에서만 26만명 이상을 뽑는다.
대기업 협력사를 포함한 중소기업들은 낙수효과를 기대하는 모습이다. 11개 그룹사가 투자를 예고한 1060조원 중 80% 이상이 국내에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중소 제조업 기업의 경우 10곳 중 4곳 이상이 대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시장은 대기업들의 ‘통큰 투자’에 정부가 어떤 방식으로 화답할지에 집중하는 분위기다. 재계의 행보가 미래·전략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새 정부의 ‘민간 주도 경제성장’ 정책을 뒷받침하는 동시에 일자리 창출 등 기업의 사회적 역할도 강화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대기업들의 투자 약속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정부의 규제 완화 등 마중물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