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올해 총 3개 수전해 수소생산기지 구축 사업자 선정·인프라 비용 지원키로
1월 공모서 전북 부안 선정 후 22일 재공고…수전해 시 드는 비싼 전기료 걸림돌
▲천연가스 생산기지에 정박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정부가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 참여자 모집에 나섰다. 올해 총 3개 사업자 선정을 위해 지난 1월 공고에 나선 이후 재공모에 나선 상황이라 수전해 기반 수소사업 자체가 난항을 겪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청정수소 공급체계로의 전환 가속화를 위해 정부는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수전해 기반’ 수소 생산·공급시설 구축 지원에 나선다.
수소 생산·공급체계를 청정수소로 전환하고자 초기 투자 부담이 높은 수전해 인프라 구축 지원을 통해 청정수소 생산 기반을 선제적으로 확충하겠다는 계획이다.
선정 사업자에게는 산업기술기반조성사업에 따라 54억3000만 원이 지원된다. 이번 공고를 통해 산업부는 2개 사업자를 선정해 총 108억6000만 원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올해 총 지원규모는 총 162억9000만 원이다. 지난 1월 1차 사업자 공모를 통해 전북 부안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된 바 있다.
이번 공고에 따르면 선정된 사업자는 하루 1톤 이상 수소 생산이 가능한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생산·저장·운송시설)를 구축해야 한다. 생산된 수소는 수소충전소 등과 연계해 수소 모빌리티에 활용 예정이다.
사업 지원에 앞서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이 가능한 부지 확보(현물 계상) 및 해당 지역 이해관계자(지역주민, 시민단체 등)의 수용성에 대한 사전 조사가 필수다.
기지에서 생산된 수소의 연도별 수요처 확보 방안 또한 지원 사업자가 수립해야 한다.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 예정지 인근 수소차량의 수요 파악은 물론, 수소충전소 또는 기타 수소수요처 등과 생산기지와의 연계는 필수다.
수소 공급(판매) 가격은 향후 수소유통센터 설립 등과 관련된 해당 지자체 또는 정부 정책에 따라야 한다. 사업자로 선정 시 최소 5년 이상의 기지 운영권을 갖게 된다.
사업 참여자는 오는 8월 5일(택배 접수 시 8월 8일 도착분)까지 온라인 또는 수소융합얼라이언스에 직접 신청할 수 있다.
정부가 총 3개 사업자를 모집하면서 재공고까지 나서는 등 사업 참여가 저조한 데에는 수전해 수소사업에 대한 ‘경제성’ 요건이 전혀 충족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수전해는 말 그대로 물을 전기분해해 고순도 수소(그린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친환경이지만 전력비용이 높아 실용화를 위해서는 생산 단가를 대폭 낮춰야 하는 과제가 있다. 물을 전기나 열로 분해하는 방식으로 수소 생산 시 국제전기가격을 고려할 때 ㎏당 약 6달러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메탄 개질에 의한 수소 생산비(㎏당 약 2달러)에 비해 약 3배 가량 비싼 것으로 평가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수전해 기반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 참여도가 저조한 이유는 단연 비싼 전기료로 인한 경제성 문제 때문"이라며 "국내에서 남아도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해 수전해가 가능한 곳은 제주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만약 육상에서 재생에너지를 구매해 수전해할 경우에는 경제성을 확보할 수 없다"며 "정부가 나서서 초기 인프라 구축비용을 지원한다 하더라도 경제성이 담보도지 않는 한 사업 자체의 지속 가능성도 확보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수전해 시 필요한 전기 요금에 대한 적정한 지원 없이는 사업성 자체가 결여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또한 전기요금 지원이라는 단발성 대책 보다는 수소생산비용과 수소가격이 연동되는 합리적인 요금구조 마련이 수전해 수소 사업의 지속성을 좌우하는 지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천연가스 등에서 추출하는 수소 생산 인프라 지원을 위해 소규모 및 중대규모 수소생산기지 구축사업을 추진했으나 청정수소 지원을 목적으로 사업 자체를 철회한 바 있다.
youn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