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안랩, 양자암호 보안 무선까지 확장…VPN기술 상용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8.23 11:11
[이미지1] KT CI4

▲KT CI.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KT는 안랩과 함께 5G(5세대)나 LTE(롱텀에볼루션) 등 무선 환경에서 더 높은 보안성을 담보하는 양자암호에 기반을 둔 가상사설망(VPN) 기술을 상용화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에 상용화 한 양자암호 VPN 기술은 KT 융합기술원이 2020년 개발한 특허 기술을 토대로 구현한 것이다. 기존 유선 중심으로 활용됐던 양자암호 보안을 무선에까지 확장해 보안성을 강화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KT와 안랩은 양자암호 VPN 구독형 서비스도 출시할 계획이다.

양자암호 VPN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되는 구간을 암호화 해 접속 방식(유·뮤선)에 관계 없이 양자암호 보안이 가능하다. 클라이언트 연결 시 사용되는 키 값을 양자 난수 생성 방식으로 암호화 하므로,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난수를 생성하는 일반 VPN보다 보안성이 높다.

KT와 안랩은 양자암호 VPN의 상용화를 위해 2020년부터 협업 해왔다. 정부의 양자암호통신 디지털 뉴딜 사업 참여를 시작으로 이와이엘(EYL)의 양자난수생성기(QRNG)를 활용한 암호 모듈을 개발했다. 이 암호 모듈은 2021년 9월 국가정보원 암호모듈검증(KCMVP) 인증을 획득한 후 2021년 12월 공통평가기준(CC)인증도 받았다.

민혜병 KT 엔터프라이즈서비스DX(디지털전환)본부장은 "5G 등 무선 통신에도 적용할 수 있는 양자암호 VPN 서비스를 통해 기업과 공공기관의 디지털전환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sojin@ekn.kr

윤소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