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로 코로나 정책’은 언제 완화?…美 월가 "리오프닝 내년 초부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09.27 16:51
2022092701001044500046311

▲중국 베이징 노동자들(사진=AP/연합)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중국 정부가 자국내 코로나19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제로 코로나 정책’을 시행 중인 가운데 미 월가에서는 내년 초에 이 같은 방역 규제가 완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체탄 아야 아시아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26일(현지시간) 투자노트를 통해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소득 성장이 악화되고 청년 실업이 증가하자 리오프닝에 대한 압박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중국이 내년 봄에 방역 규제를 완화하고 국경을 다시 개방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경제를 관리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은 재개방 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수출 성장세 둔화,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방역규제 완화는 소비와 서비스 지출을 부활시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코로나와의 공존’을 택한 데 따른 리오프닝이 아닌, 제로 코로나 정책이 중국 정부가 강조하는 ‘공동부유론’과 점점 더 멀어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경제 회복을 위해 중국 정부가 코로나 통제에 ‘백기’를 들 것이란 셈이다.

모건스탠리는 중국 정부가 내년 방역 규제를 완화하면서 중국 경제성장률이 2023년 2분기까지 5.5%로 급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3분기부터 내년 1분기까지 3% 성장이 예상되는 것과 대조적이다.

글로벌 금융권에서도 이와 비슷한 시각을 내비치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내년 2분기 전까지 중국에서 리오프닝이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고 노무라는 내년 3월 이후 방역 규제가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두 은행은 다만, 중국 방역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고, 이로 인해 리오프닝과 경제 활동에 일부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이 사라지거나 완화되어도 급격한 경기회복을 기대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이에 골드만삭스는 2023년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5.3%에서 4.5%로 하향 조정했고, 노무라도 5.1%에서 4.3%로 낮췄다.

한편, 중국 지방 정부들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절 황금연휴(10월 1∼7일) 기간 타지역 이동을 자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중국의 3대 연휴로 꼽히는 국경절 연휴는 관광과 문화 분야 소비가 많이 이뤄지는 기간이기 때문에 내수 경제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