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총파업에 ‘셧다운’ 위기…화물연대-국토부, 28일 첫 교섭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1.27 11:32
clip20221127111752

▲지난 24일 경기도 의왕시 내륙컨테이너기지(ICD) 앞에서 열린 화물연대 서울경기지부 총파업 출정식에서 노조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총파업에 나선 민주노총 공공운수노동조합 화물연대본부(화물연대)가 국토교통부(국토부)와 28일 첫 교섭에 나선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와 국토부는 2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만날 예정이다. 양측의 공식 대화는 지난 15일 이후 처음이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기 및 품목 확대는 안 된다는 정부 입장과 이를 반대하는 화물연대의 입장이 평행선을 그리고 있어 교섭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파업이 지속될 경우 시멘트·레미콘 등 피해가 큰 업종에 대해 선별적으로 업무개시명령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오는 29일 국무회의에서 업무개시명령이 심의·의결된다면 2004년 도입 이후 첫 발동 사례가 된다. 이에 화물연대는 정부가 업무개시명령을 겁박과 압박의 수단으로 활용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 기사가 과로·과속·과적 운행을 할 필요가 없게끔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 이를 어기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매기는 제도다. 2020년 시멘트와 컨테이너 화물에 한시 도입돼 올해 말 종료를 앞두고 있다.

앞서 화물연대는 안전운임 개악 저지, 일몰제 폐지, 차종·품목확대 등을 주장하며 지난 24일 0시를 기점으로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 측은 2만5000명 가량의 조합원이 파업에 참여했고 비조합원들의 자발적 참여까지 더하면 실제 파업 참여 인원은 그 이상이라고 설명했다.

총파업 출정식 이후 화물연대는 전국 60여개 거점에서 파업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이번 총파업으로 경기 의왕 내륙컨테이너기지(ICD)를 비롯해 평택항, 마산 가포신항, 부산신항, 인천신항, 광양항, 군산항, 제주항 등 전국 주요 항만과 충남 대산 석유화학 단지, 울산 석유화학단지, 전남 여수산업단지 등 주요 산업단지 및 강원, 충북, 인천의 주요 시멘트 출하 기지와 정유사, 철강, 자동차 등 산업 전반의 운송이 멈춰섰다.

이에 원희룡 국토부장관은 지난 26일 오후 경북 포항시 소재 철강 산업단지 인근에 집결한 화물연대 조합원 60여명과 대화를 나누는 등 업계 피해 상황을 살폈다. 당시 원 장관은 "안전운임제 일몰 연장은 국회에서 처리되도록 할 것이며, 앞으로도 대화는 지속할 것이므로 일단 현업에 복귀하시기 바란다"며 집단운송거부 중단을 촉구했다.


sojin@ekn.kr
윤소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