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 출범 1주년 앞둔 포스코그룹, ‘친환경 미래소재 기업’으로 순항중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2.12.13 15:31

포스코홀딩스,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CCS 사업 추진 진행



포스코케미칼, 미국서 음극재 1조원 규모 따내



친환경 철강 제품 및 스마트 통합물류센터 구축

최

▲포스코그룹 최정우 회장이 세계철강협회 지속가능성 최우수 멤버(Sustainability Champion) 인증패를 들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지난 3월 지주사 체제 출범과 함께 ‘친환경 미래 소재 대표 기업으로의 도약’을 공표했던 포스코그룹이 여러 사업부문에서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체질개선에 순항하는 분위기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이 전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미래 소재 사업에 속도가 붙으며 그 결실이 하나 둘 나타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전날 말레이시아 사라왁주에서 탄소포집저장(CCS) 사업 추진을 위해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건설, 페트로스(PETROS)와 함께 ‘고갈 유·가스전 활용 탄소포집저장 사업’에 손을 잡았다. 이에 따라 향후 한국에서의 이산화탄소(CO2) 포집부터 말레이시아 사라왁까지의 CO2 운송, CCS 인프라 설비 구축, CO2 저장까지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리튬 공급망 확보도 탄탄대로다.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018년 선제적으로 아르헨티나 염호를 인수했다. 이후 지난 3월 연산 2만5000t 규모의 1단계 공장을 착공해 2024년 상반기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얼마전 아르헨티나 염수 리튬 상용화 공장 2단계 투자를 결정했다.

GS에너지와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사업 합작법인 ‘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도 설립, 안정적인 폐배터리 확보는 물론 이차전지 리사이클링과 관계된 새로운 산업 생태계 시장에도 뛰어들 수 있게 됐다.

포스코케미칼 역시 최근 LG에너지솔루션,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합작한 배터리 회사 얼티엄셀즈와 9393억원 규모의 인조흑연 음극재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1조원’ 잭팟을 터뜨렸다. 이로써 포스코케미칼은 내년부터 2028년까지 6년간 경북 포항공장에서 생산한 인조흑연 음극재를 얼티엄셀즈에 공급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국내 제조업 최초로 친환경 스마트 통합물류센터인 ‘포스코 친환경 풀필먼트 센터’를 광양국가산업단지 명당3지구 내 구축하기로 했으며 올해 초엔 친환경차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가전제품의 에너지효율 향상 요구에 적극 대응하고자 광양에 연산 30만t 규모의 무방향성 전기강판 공장을 착공하는 등 친환경 제품 생산에도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세계적인 철강전문 분석기관 월드스틸 다이나믹(World Steel Dynamics·WSD)이 발표하는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 있는 철강사’ 순위에서 포스코가 13년 연속 1위에 선정됐다.

포스코는 친환경 기술혁신, 고부가가치제품, 가공비용, 인적역량, 신성장사업, 투자환경, 국가위험요소 7개 항목에서 만점을 받으며 평균 8.5점(10점 만점)으로 종합 1위에 올랐다는 설명이다.

필립 엥글린 WSD CEO는 "포스코의 수소환원제철포럼(HyIS)이 철강업계 밸류체인 차원의 협력을 이끌어내 탄소중립을 위한 구심점이 됐다"면서 "포스코가 추진하고 있는 400억달러 규모의 호주 친환경 철강원료·수소 투자도 포스코의 탄소중립 실현과 성장 가능성에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또 세계철강협회가 주관하는 2022년 스틸리어워드에서 △기술혁신 △지속가능성 등 2개 부문을 수상하고 안전보건 우수사례 인증 프로그램에서 채택되는 성과도 올렸다.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포스코홀딩스의 리얼밸류(Real Value) 경영을 통해 포스코그룹의 가치를 획기적으로 제고해 나가야 한다"며 "지주회사를 중심으로 사업회사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사업을 발굴해 친환경 미래소재 대표기업으로 발돋움 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