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기준금리 3.5%로 상향 예상
고물가·한미 금리차 부담
美 강한 긴축, 최종 3.75%까지 오르나
![]() |
▲지난해 11월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가 열리고 있다. |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13일 열리는 올해 첫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높일 것이란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5%대로 높은 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인상을 지속할 것으로 보여 한은도 속도를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관심은 최종 기준금리로 쏠리고 있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금통위원 다수가 연 3.5%를 최종 금리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약속이 아닌 만큼 바뀔 수 있다는 점도 시사했다. 시장에서는 최종 금리가 연 3.5∼3.75%이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13일 첫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한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3.25%다.
시장에서는 금통위가 이번에 0.25%포인트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한다. 먼저 소비자물가가 5%대의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 대비 5% 상승했다. 6%대를 넘어섰던 물가는 정점을 찍고 내려오고 있지만 5%대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한은은 판단한다. 여기에 전기·가스·대중교통 요금 등 예고된 공공요금 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올해 신년사에서 "물가가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통화정책은 물가안정에 중점을 둔 정책기조를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가가 떨어지지 않는다면 추가 금리인상을 지속한다는 의미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도 벌어지고 있다. 미국의 현재 정책금리는 연 4.25∼4.5%로 한국과 상단이 1.25%포인트 차이가 난다. 미국은 최종 금리 수준을 연 5% 이상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한은에 따르면 미국 현지의 IB 12곳 중 7곳이 최종 금리를 5∼5.25%로 전망했다. 당장 한미간 금리 역전이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고 해도 오랜 기간 지속될 경우 자본 유출, 환율 등에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한미간 금리 차를 좁혀둘 필요가 있어 한은이 이달 금리를 0.25%포인트 높이며 미국의 긴축 기조를 따라갈 것이란 예상이다.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예고된 만큼 시선은 최종 금리 수준으로 쏠린다. 연 3.5%에서 멈출 지, 또는 한 차례 더 인상을 한 후 연 3.75%에서 멈출 지에 의견이 갈린다.
먼저 지난해 11월 금통위원 다수가 연 3.5%를 최종 금리 수준으로 예상한 만큼 경기 위축 우려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연 3.5%까지 높인 후 인상을 멈출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반면 물가 요인에 더해 미국이 강한 긴축 기조를 보이고 있어 한은이 연 3.75%까지 금리를 높일 것이란 전망도 힘을 얻는다. 한미간 금리 차로 볼 때 미 연준이 최종 금리를 5% 이상으로 높이고 한은이 3.5%에서 금리 인상을 끝낸다면 한미간 격차는 1.5%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지게 된다. 그동안 최대 한미 금리 역전 폭은 1.5%포인트로 확대 폭이 더 커지는 것은 부담이란 분석이다. 이에 따라 한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연 3.5%로 높인 후 2월이나 4월에 한 차례 더 금리를 높여 연 3.75%까지 상향시킬 것이란 예상이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금통위원 다수가 최종금리를 3.5%로 제시한) 지난해 11월과 지금을 비교하면 중요한 상황들은 빠르게 변화했다"며 "미국의 긴축 의지가 매우 강해졌다. 국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빠르게 안정 중이지만, 지금과 같은 속도의 빠른 물가 진정이 계속 되리란 보장은 없다"고 했다. 이어 "단기자금시장 경색이 진정돼 한은이 좀 더 물가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라며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로 부동산 경기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불안이 진정되면 금리 인상에 대한 부담은 덜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