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조사…곤란하다 36.6% 작년보다 10%p↑
자금난 이유 '사업 부진' 70%…"작년과 비슷" 34.9%,
![]() |
▲지난해 설 대비 최근 중소기업 자금사정(왼쪽)과 자금사정 곤란원인. 자료=중소기업중앙회 |
중소기업중앙회가 11일 발표한 ‘2023년 중소기업 설 자금 수요조사’(지난해 12월 27일~1월 5일, 중소기업 800개사 대상) 결과에 따르면, 올해 설 대비 자금사정이 지난해와 비교해 ‘곤란하다’는 응답이 36.6%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조사에서 똑같은 ’곤란하다’ 응답비율(26.0%)보다 10%포인트(p) 낮은 수치로 올해 설자금 사정이 더 악화된 것으로 풀이됐다.
반면에 ‘지난해와 다르지 않다’ 응답은 34.9%로 비교적 높았지만, ‘곤란하다’보다는 낮았다.
중소기업들은 설 자금사정 곤란 원인으로 △판매·매출부진(70.3%) △원·부자재 가격 상승(66.9%) △인건비 상승(34.5%) △납품대금 단가 동결·인하(7.2%) 순으로 응답했다.
지난해 설과 비교해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 여건이 ‘원활하다’라는 응답이 38.8%를 차지했고, ‘곤란하다’라는 응답(25.6%)보다 ‘작년과 다르지 않다’는 응답(35.6%)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은행에서 자금조달 시 애로사항은 ‘고금리(66.9%)’가 가장 많아 지난해(33.5%)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반면, ‘없음(28.4%)’은 지난해(50.8%) 대비 대폭 감소했고, ‘과도한 서류제출 요구(21.4%)’가 그 뒤를 이었다. 이는 자금조달 여건은 어렵지 않으나 금리인상으로 인해 자금 조달 부담이 커졌다고 중기중앙회는 분석했다.
응답기업들은 올해 설에 평균 2억2550만원의 자금이 필요하지만, 평균 2580만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한 설 자금 중 부족한 자금 확보계획에 대해서는 ‘납품대금 조기회수(65.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금융기관 차입(29.0%)’, ‘결제연기(27.5%)’ 등의 순서로 응답했다. ‘대책없음’도 14.5%에 달했다.
올해 설 상여금(현금) ‘지급예정’이라고 응답한 중소기업은 44.3%로 나타났고, ‘아직 미정’인 업체도 17.0%에 달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올해 중소기업은 금용이용 관련 지원 요청사항으로 ‘금리인하’를 가장 많이 꼽았다"며 "중소기업 설 자금사정에서 코로나로 인한 영향은 다소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높은 상태이고, 지속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가장 큰 자금조달 애로요인이 되고 있는 만큼, 자금조달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금융지원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