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단기간 사업·일정 악영향 실시간 파악 신속지원 계획
![]() |
▲중국 정부가 10일 한국과 일본 국민에 발급하던 중국행 단기비자를 전명 중단한다고 발표한 다음날인 11일 서울 중구 주한중국대사관 부근 비자 서류 지원 서비스를 해 주는 사무실의 출입문이 닫혀 있다. 사진=연합뉴스 |
중기부는 중국의 한국인 단기비자 발급 중단 발표와 관련해 수출 중소기업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긴급 대응에 나서겠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주한중국대사관과 총영사관은 중국정부의 지시에 따라 하루 전인 10일부터 상업무역ㆍ관광ㆍ의료ㆍ일반 개인사정을 포함한 한국 국민의 중국 방문 단기비자 발급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11일 중국을 경유하는 한국과 일본 국민의 비자 면제조치도 잠정 중단했다
중기부는 전국 13개 지방중소벤처기업청과 제주수출지원센터에 ‘중국 비자발급 중단에 따른 중소기업 애로접수센터’를 긴급 운영한다. 중소기업 애로사항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지원방안을 관계부처와 함께 신속하게 검토할 계획이다.
중국 정부의 비자 중단 조치로 당장에 1∼2월에 중국 방문 비즈니스 일정과 현지시장 마케팅 계획이 잡혀 있는 국내 기업들은 줄줄이 취소나 연기될 처지에 놓였다. 특히, 본계약 등을 앞둔 기업들은 일정을 황급히 조정하면서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응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중기부는 이번 비자발급 중단 상황이 개별 중소기업에 큰 재난이 되지 않도록 신속한 초기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을 세우고, 10일 오후 즉시 지방중소벤처기업청 별로 전담자를 지정하는 등 기업애로 접수센터의 즉각적인 가동을 준비했다.
중국 비자발급 중단에 따른 중소기업 애로접수센터는 이날 오전부터 즉시 운영해 기업현장의 어려움 파악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법무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중소기업중앙회 등 관련 협·단체와도 긴밀히 소통하며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향후 범부처 태스크포스(TF) 등이 구축되면 중소기업 애로사항 전달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