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제조업 경기실사지수 BSI 80대 기록…부정적 전망 확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1.15 11:00
[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지난해 4분기 제조업 시황과 매출 경기실사지수(BSI)가 각각 86, 88으로 나타났다. 올해 1분기 역시 시황과 매출이 100을 밑도는 87, 88로 조사됐다.

BSI는 100(전분기 대비 변화 없음)을 기준으로 200에 가까울수록 전분기 대비 증가(개선)를, 반대로 0에 근접할수록 감소(악화)를 의미한다.

15일 산업연구원(KIET)이 국내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매 분기 말에 ‘제조업 경기조사’(현 분기 평가 및 다음 분기 전망)를 수행하고, 경기실사지수(BSI)를 집계한 결과 지난해 4분기 제조업의 시황 BSI는 86으로 전분기 대비 보합, 매출 BSI는 88로 소폭 상승했다.

올해 1분기 전망은 시황(87)과 매출(88) BSI가 100을 여전히 하회하는 가운데 3분기 연속 하락하면서 부정적 우려감이 확대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2022년 4분기 매출 BSI는 대부분 유형에서 100 하회가 지속되고 있다. ICT부문과 대형업체 제외하고 전분기 대비 상승했다. 올해 1분기 전망 BSI 역시 모든 유형 100 하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매출 현황 BSI 역시 지난해 4분기의 경우 신산업을 제외한 다수 유형에서 100을 하회하는 가운데 특히 ICT부문이 100을 상당폭 하회하고, 전분기 대비 기준으로는 ICT부문과 대형업체를 제외하고 상승 전환했다.

올해 1분기 매출 전망 BSI는 대형업체를 비롯한 모든 유형에서 100을 하회하는 가운데 전분기 대비로는 대다수 유형이 하락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주요 업종별로 보면 2022년 4분기 매출 BSI는 정유 및 바이오/헬스 업종에서 100 상회, 전분기 대비로 대다수 업종이 올랐다. 같은 기간 매출 현황 BSI는 정유와 바이오/헬스 업종에서 100을 상회하고, 반도체와 자동차, 철강, 이차전지 등 다수 업종에서 100을 동반 하회했다.

2023년 1분기 매출 전망 BSI는 이차전지 업종에서 기준선(100)을 회복한 것을 제외하고는 무선통신기기와 자동차, 정유 등을 비롯한 나머지 다수 업종에서 100을 동반 하회하고, 전분기 대비로도 디스플레이와 이차전지 등의 업종을 제외하고 대부분 하락 내지 보합일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올해 제조업 매출 전망 BSI 100 하회하며 신산업 제외한 대부분 유형별 매출 전망 100 아래일 전망이다. 다만, 무선통신기기·바이오/헬스·이차전지 등 일부 업종 100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이번 2022년 4분기 조사는 지난해 12월 12일부터 30일에 걸쳐 이뤄졌으며, 최종적으로 1500개의 제조업체들이 응답했다.

조사 항목으로는 시황과 경영 실적(매출, 국내시장출하, 수출, 경상이익), 경영 활동(재고, 설비투자, 설비가동률, 고용), 외부 여건(원자재가격, 자금사정, 제품가격) 등이다.

김아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