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 15일 '7대 국내 트렌드' 보고서
![]() |
▲현대경제연구원이 제시한 올해 7대 국내 경제 트렌드. 자료=현대경제연구원 |
15일 현대경제연구원은 ‘2023년 7대 국내 트렌드 - 초미지의 위기를 극복해낼 것이라는 우리의 희망(OUR HOPE)’ 보고서를 통해 첫 번째 트렌드로 ‘상저하고의 가능성’을 꼽으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물가 상승 추세 등을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 경제가 불황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 예상하면서도 대내외 리스크 요인의 향방에 따라 ‘상정하고’ 추세를 보일 수 있다.
즉 우리나라 경제가 하반기 들어 회복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대내외 리스크 요인으로는 △수출 경기 향방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양상 △인플레이션 추세 △기준금리 변화를 꼽았다.
다만 보고서는 하반기에도 경기 반등 전환점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2024년까지 이 같은 침체가 지속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두 번째 키워드로 ‘초미지의 위기’를 꼽았다. 대부분 경제 예측 기관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을 1%로 하향 조정하는 가운데, 저성장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지 못하는 위기 상황이 올 것이라는 시각이다.
정부 정책과 관련해서는 ‘추경과 피봇’이 선정됐다. 정부가 올해 기존 ‘물가 안정’과 ‘재정건전성 제고’ 목표 수준을 완화하고, 통화정책 방향 전환(피봇)에 나서거나 추가경정 예산을 편성하리란 전망이다.
산업 분야에서는 ‘업종별 경기의 이질성’을 꼽았다. 철강과 석유화학 산업군의 불황은 장기화되지만, 반도체·자동차 등은 하반기 경기 회복세로 들어서며 업종별 경기 사이클에 차이가 있다는 설명이다.
기업 키워드는 ‘투자의 시간과 공간’으로 우리나라 기업 투자의 물리적 공간이 국내에서 해외로 이전하는 추세가 가속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사회적으로는 ‘다가오는 초고령사회’가 키워드로 제시됐다. 올해 한국의 고령층(만 65세 이상 인구) 비중은 18.4%인데, 2년 후엔 초고령사회(만 65세 이상 인구 20% 이상)으로 진입하리란 예측에서다.
마지막 키워드로는 남북 경협 관련 ‘담대한 구상 실현을 위한 정교한 접근’이다. 연구원은 우리 정부가 북한의 비핵화를 견인할 만한 초기 조치를 마련하되, 정교하고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lsj@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