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방, 아파트 매매 가격대별 거래량 분석
전국 3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70% 유지
3억 초과 6억 이하 20%, 6억 초과비율 감소세
![]() |
▲지난해 전국 매매가 3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전체 비중의 70% 안팎으로 예년보다 저가 거래가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분기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대별 거래비율 추이. 직방 |
16일 직방이 아파트 매매 가격대별 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국 매매가 3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가 70% 안팎으로 예년보다 저가 거래가 높은 비율을 유지했다.
3억원 초과 6억원 이하 거래 비율도 20%대를 유지했다. 반면 6억원 초과 매매거래는 2021년 4분기 이후 감소세를 보였다.
앞서 정부는 2021년 12월 양도소득세 비과세 고가주택 기준을 9억원에서 12억원으로 상향 조정한 후, 지난해 중도금 대출보증 기준도 12억원까지 상향 조정했다. 올해부터는 종합부동산세, 주택임대소득세 고가주택 기준도 12억원으로 조정됐다.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대별 거래비율은 아파트 가격이 높아지면서 12억원 초과 고가 거래가 2020년 2분기부터 꾸준히 늘다가 작년 들어 다소 줄었다.
직방 관계자는 "지난해 아파트 매매시장은 금리 인상, 경기침체 등으로 수요가 크게 위축되면서 아파트 가격 자체가 하락해 6억원 이하 가격대 거래가 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시장 분위기가 위축됐던 만큼 양도세 비과세 기준이 높아졌다고 해서 9억원 초과 12억원 이하 매물거래가 늘어나는 등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서울에서 매매가 12억원을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비율이 분기별 전체 거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4개 구(서초·강남·송파·용산)에서는 모두 작년 1분기에 12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 비율이 크게 줄었다가 2분기 반등했다.
서울 내에서 2021년 4분기 대비 지난해 4분기의 12억원 초과 고가 아파트 거래비율이 가장 크게 하락한 지역은 성동구로, 2021년 4분기 72.5%였으나 2022년 4분기는 36.6%로 35.9%포인트(p) 하락했다.
광진구, 동작구, 중구, 마포구 등의 순으로 고가 아파트 거래비율이 크게 떨어졌다.
고가 거래비율은 감소하고 저가 거래의 비율이 늘어나면서 평균 호당 거래가격도 전국과 서울 모두 작년 2분기 잠시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부터 주택가격 변화에 따라 양도세, 대출, 종부세 등 고가주택 기준이 시기적인 차이를 두고 조정돼 왔다. 그러나 지난해 급격히 이뤄진 금리인상과 함께 대외경제여건의 불안 등으로 인해 아파트 매매시장이 침체기에 빠져들면서 고가주택에 대한 규제완화 거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후반부터는 규제지역을 해제하거나 부동산시장의 연착륙을 위해 규제를 완화하는 등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대외적 환경에 대한 불안은 여전한 실정이다.
직방 관계자는 "지난 12월 직방에서 진행한 2023년 주택시장 전망을 묻는 설문조사에서도 금리인상 및 경기침체 지속에 대한 우려로 ‘가격하락’을 전망하는 응답이 70%가 넘었다"며 "향후 금리변화와 함께 시장을 되살리려는 정부의 대책에 수요자들이 어떻게 움직일지 귀추가 주목된다"고 말했다. kjh123@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