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서 누르고 알뜰폰에 치이고…'사면초가' 이통3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2.20 14:40

尹대통령, 선택권 확대 강조…상반기 40~100GB 요금제 추진



알뜰폰 이탈·고가 요금제 비중 감소…이통3사, 매출 하락 우려↑

nKdGFyADfMDw63ec767bb15584.64986242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5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에너지경제신문 윤소진 기자] 정부의 통신비 부담 완화 압박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알뜰폰
(MVNO) 시장으로의 이용자 이탈이 가속화하면서 이동통신 3사(SKT·KT·LG유플러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서민 생계비 부담 경감을 위해 통신 분야 해결책으로 통신 요금 선택권 확대를 적극 유도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열고 통신 3사의 과점 해소를 언급하며 관계 부처에 국민의 통신료 경감을 위해 통신 요금 구간을 세분화하라는 구체적 주문을 내놓았다.

이날 과기정보통신부는 수요가 많은 40~100GB 구간의 5G(5세대 이동통신) 중간 요금제가 올해 상반기 내 출시될 수 있도록 통신사와 협의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3월 중으로는 노년층을 위한 5G 시니어 요금제를 출시하며, 시니어 연령대별 혜택도 세분화하는 방안을 통신사와 협의할 예정이다.

알뜰폰 시장에 대해서는 활성화 정책을 펴겠다고 발표했다. 도매제공의무 제도를 연장하고, 5G 요금제 도매대가 인하를 통해 저렴한 5G 알뜰폰 요금제가 나올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알뜰폰 시장은 매해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정부의 사업 지원에 더해, 고물가 시대 자급제 단말기를 구입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선택하는 이용자가 늘고 있어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는 지난해 12월 기준 1282만9247명으로 집계됐다.

2023022001001030200046302

▲연도별 이동통신 가입자 추이.


반면 이통3사의 이동통신사업은 정체기다. 지난해 5G 가입자 비중이 늘며 전체 이동통신 사업 매출은 증가했지만 100만명 가량의 이동통신 가입자를 알뜰폰 시장에 빼앗겼다. 중장기적으로는 이용자 감소로 인한 매출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성장이 둔화된 상황인 만큼 신규 이용자 유입을 위한 요금제 세분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으나, 이통사 입장에서는 신규 요금제 출시를 손쉽게 결정할 수 없는 상황이다. 고가인 무제한 요금제보다 월 요금이 저렴한 일반요금제로 이동하는 이용자가 늘어날 경우 가입자당 평균 매출(ARPU)이 감소해 전체 통신사업 매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또 요금을 낮춘 새로운 요금제를 출시하더라도 알뜰폰의 가격 경쟁력을 따라가기는 어렵다. 이미 지난해 기본 데이터 제공량 20~30GB의 중간요금제를 출시했지만 데이터 제공량이 부족하다는 실효성 논란에 시달리기도 했다.

이통3사가 요금제별 가입자 수를 별도로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5G 가입자 중 무제한 요금제 이용자 비중도 갈수록 줄어든 것으로 파악된다. 과기정통부가 발표한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를 토대로 전체 트래픽을 가입자 1인당 트래픽으로 나눈 값을 역산한 결과 지난해 12월 기준 5G 무제한 가입자 비중은 39.6%로, 상용화 초기인 2019년(72.3%)에 비교하면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의 통신사에 대한 요금 완화 압박은 이통3사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정부 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이 발표된 15일부터 이통3사 주가는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가 현재는 소폭 반등한 상태다. 특히 SKT는 17일 장중 52주 신저가를 기록했다.


sojin@ekn.kr
윤소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