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주한 외투기업 규제 인식 및 투자 전망조사’ 발표
"투자 활성화 위한 조치는 ‘과도한 기업 규제 획기적인 개선’"
![]() |
▲타국에 비해 개선이 필요한 한국의 규제 |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전국 50인 이상 201개(응답기업 기준) 기업을 대상으로 ‘주한 외투기업 규제 인식 및 투자 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경총에 따르면 과반수에 달하는 주한 외투기업은 외국인 투자 활성화를 위해 다른 국가에 비해 개선이 필요한 한국의 규제 분야(복수응답)로 ‘노동 규제’(48.8%)를 지목했다.
다음으로 ‘지배구조 규제’(23.9%), ‘인허가·건축 규제’(23.4%), ‘안전·보건 규제’(21.9%) 순이었다.
![]() |
▲외투기업 전 CEO에게 불법파견 유죄판결을 내린 것에 대한 의견 |
‘한국내 사업의 불확실성이 커져 기존 외투기업의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음’(30.8%), ‘외투기업 본사 임원이 한국에 부임하는 것을 더욱 꺼리게 될 것’(25.9%), ‘신규 외투기업의 한국 진출을 저해할 것’(20.4%) 등 의견이 뒤를 이었다.
본사 소재 외국 대비 한국의 전반적인 규제 수준에 대해서 주한 외투기업 3곳 중 1곳(33.8%)은 ‘한국의 규제 수준이 외국보다 높다’고 평가했다. 그 밖에 응답 기업의 57.7%는 한국과 외국의 규제 수준이 ‘비슷하다’고 답했다. ‘한국의 규제 수준이 외국보다 낮다’고 응답한 기업은 8.5%에 그쳤다.
올해 주한 외투기업의 신규 투자 계획은 ‘없음’(40.3%)이 가장 많았다. 아직 투자 계획을 세우지 못해 ‘미정’인 기업도 33.8%에 달했다. 신규 투자 계획이 있는 기업은 25.9%에 불과했다.
외투기업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조치(복수응답)로 ‘과도한 기업 규제의 획기적인 개선’(37.8%)이 가장 높게 집계됐다. 다음으로 ‘법인세 인하’(32.3%),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확대’(26.9%), ‘노동시장 개혁’(25.4%) 순이었다.
류기정 경총 전무는 "대내외 어려운 경제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인 외국인 투자 유치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특히 "타국에 비해 개선해야 하는 규제 분야로 노동 규제가 지목된 만큼 글로벌 스탠다드보다 과도한 규제를 조속히 개선해 외투기업이 체감하는 규제 리스크를 줄여 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