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진출 외투기업 10곳 중 6곳, 투자 늘릴 의향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3.30 12:00

대한상의 ‘외투기업과 해외진출기업의 투자결정요인 조사’
"현금지원·조세감면·금융조달지원 등 개선 필요"

AASDF232TG2EG2E

▲한국 투자에 대한 외투기업들의 인식 이미지.

[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국내에 진출한 외국 투자기업 10곳 중 6곳은 증액투자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0일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 95개사를 대상으로 ‘외투기업의 투자결정요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조사는 오준석 숙명여대 교수팀과 코트라가 함께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국내에 진출한 외투기업의 64.2%가 향후 한국투자를 늘릴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한국투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89.1%가 ‘만족한다’고 했다. ‘한국 진출을 고려하는 기업에 긍정적으로 조언하겠다’는 응답도 71.4%였다. 실제 증액투자 계획이 있다고 응답(53.8%)한 기업도 절반이 넘었다.

오준석 숙명여대 교수는 "우리나라 투자동력이 약해지는 상황에서 외투기업들이 한국투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증액투자도 고려하고 있다는 것은 우리나라 투자환경이 경쟁력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라며 "보다 공격적으로 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전략수립과 제도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투자 결정 시 고려한 요인은 ‘시장성장 잠재력’(55.1%), 투자인센티브(53.9%), 내수시장 진출(49.4%), 우수인력 확보(44.9%) 순으로 나왔다.

해외에 진출한 국내기업 135개사를 대상으로 해외투자 결정 시 고려 요인도 조사했다. 국내 진출한 외투기업과는 달리 시장성장 잠재력 외에는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43.7%), ‘저렴한 인건비’(43.0%), ‘R&D 혁신환경’(26.7%) 등을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투기업이 한국투자 시 고려하는 정부정책 요인으로는 ‘투자인센티브 매력도’(68.8%)를 꼽은 기업이 가장 많았다. 이어 ‘규제애로 여부’(64.5%), ‘행정·규제 관련 정보취득 편의성’(61.3%) 등 답이 나왔다.

외투기업들은 또 투자인센티브 제도 개선에 필요한 정책으로 ‘현금지원 요건 완화’(69.1%)와 ‘조세감면 강화’(69.1%)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펀드 등을 통한 금융조달지원 강화’(57.4%), ‘입지지원 확대’(47.9%) 등 순이었다.

이상헌 대한상의 규제혁신팀장은 "공급망 재편, 중국 제조업 이탈 등으로 인한 글로벌 투자환경의 변화를 투자유치 확대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해야 한다"며 "투자 촉진을 위해 인센티브제도 개선뿐만 아니라 행정인프라, 투자지원 서비스 등 투자유치 지원시스템 전반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yes@ekn.kr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