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 전월 대비 48% 증가
고금리·낮은 수익률에 건물 처분 움직임이 거래로 이어져
거래절벽 해소 기대에도 전문가들 "회복세로 보기 어려워"
▲지난 2월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이 반등했지만 전문가들은 시장 회복으로 해석하기에 시기상조라고 평가했다. 사진은 서울 중구 명동 대로변 상가들이 수개월째 공실인 모습. 사진=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
[에너지경제신문 김기령 기자] 고금리 여파에 거래절벽 수준으로 얼어붙었던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이 최근 반등하면서 시장이 되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에 시장에서는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흘러나오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회복 시그널로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일축했다.
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 2월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매매 거래량은 4111건으로 전월(2771건) 대비 48%가 증가했다. 장기간 하락 국면을 이어오던 거래량이 지난 2월 갑작스레 4000건대를 회복한 것이다.
지난해 4월 8323건까지 올랐던 거래량은 같은 해 7월과 8월에 각각 5593건, 5271건을 기록하는 등 5000건대로 감소했다. 이후 지난해 11월(3840건)에는 3000건대로 급감했고 지난 1월에는 불과 2771건만 거래됐다.
이에 시장에서는 2월 주택 시장 거래 증가세에 힘입어 상업·업무용 부동산도 다시 살아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왔다.
그러나 대다수 전문가들은 거래량이 증가하긴 했지만 거래 유형을 분석했을 때 회복세로 보기엔 시기상조라고 판단했다. 그 이유로 중개거래보다 직거래 비중이 늘어난 점과 소형 건물 위주로 거래가 이뤄진 점 등을 꼽았다.
2월 전국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는 직거래가 전체의 57.4%(2361건)으로 중개거래(42.6%·1750건)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의 과반 이상이 공인중개사를 통하지 않고 직거래 형태로 진행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꼬마빌딩이나 소형 건물 위주로 거래가 늘어나면서 전체 거래량이 증가하긴 했지만 자금 부담이 큰 대형 건물은 오히려 거래가 감소하고 있는 점도 시장 회복 전망을 어둡게 하는 이유 중 하나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기업 알스퀘어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을 통해 올해 초부터 지난달 14일(계약일 기준)까지 서울 업무·상업용 빌딩 매매를 분석한 결과, 1000억원 이상 대형 거래는 단 1건에 불과했다. 500억원대 거래도 1건에 그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00억원 이상 건물 거래가 7건, 500억원 이상 거래가 9건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감소한 수치다.
올해 서울 상업·업무용 부동산 매매 거래액 역시 감소하고 있다. 지난달 기준 올해 거래액은 총 1조990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7168억원) 대비 80.8%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임대가격은 낮아지고 공실률은 높아지는 등 상업·업무용 부동산의 수익성이 악화되는 추세다. 특히 미국에서 상가 공실률 상승으로 상업용 부동산 대출 부실 우려가 높아진 가운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도 대출 부실 문제가 촉발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최근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와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각각 13.2%, 6.9%로 모두 전 분기 대비 0.1%포인트(p) 하락했다.
임대가격지수도 하락세다. 지난해 4분기 전국 중대형 상가 임대가격지수는 99.5%로 전년 동기 대비 0.33%p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소규모 상가도 99.5%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0.52%p 떨어졌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금리 인상기를 맞아 상업·업무용 부동산이 투자자들로부터 외면 받고 있는 탓에 매수자를 구하기 어려워진 소유자들이 증여나 직거래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며 "대출이자 부담 등으로 투자수익률이 낮아진 만큼 가격을 낮춰 빨리 처분하려는 움직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