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대출 ‘130조’, 연체율도↑…당국 "점검·대응 강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09 13:36
PYH2023040706330001300_P4

▲둔촌주공 재건축 현장 전경. 사진=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성우창 기자] 금융권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130조원 수준까지 커지며 금융시장 불안을 키우고 있다. 연체율도 1년 새 급등하자, 금융당국은 전수 조사를 통한 선제적 점검과 맞춤형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 작년 레고랜드·흥국생명 사태같은 이슈가 나올 경우 금융권 전체가 요동칠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작년 말 129조9000억원으로 전년(12조6000억원) 대비 17조3000억원 늘었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연체율 또한 같은 기간 0.37%에서 1.19%로 0.82%포인트(p) 증가했다.

업권별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년 동안 은행이 6조8000억원, 보험사가 2조3000억원, 여신전문금융사가 7조3000억원, 저축은행이 1조원씩 늘었다. 이 기간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증권사가 6.67%p, 여신전문금융사가 1.73%p, 보험사가 0.53%p 급증했다.

금융당국은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지만, 대출 규모 및 자기자본 대비 비율 등을 고려할 때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적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작년 말 기준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액은 5000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비중이 0.7%, 여신전문금융사도 연체액(6000억원)도 1.4% 수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과거 위기 시 도입된 부동산 PF 대출 규제 등으로 연체가 특정 증권사나 여전사에 집중돼 있지 않다"며 "개별 금융사에 대한 충당금 적립 등 손실 흡수능력 제고와 유동성 확보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밝했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사업장을 전수 조사해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하고, 각 사업장별 맞춤형 대응에 나서고 있다. 최근 금리 인상 과정에서 부분적인 PF 대출 원리금 미상환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것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PF 사업장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금융사의 손실 흡수능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한편, 양호한 PF 사업장에 대해서는 원활한 자금 공급을 통해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금융당국은 건설사와 증권사가 보증하는 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이 원활하게 차환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미 브릿지론을 PF로 전환하기 위해 15조원의 사업자 보증을 공급하고, 단기 형태의 PF-ABCP를 보증부 장기 대출로 바꾸기 위해 3조원의 사업자 보증을 신설,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사업성 우려 사업장은 정상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모든 금융권이 참여하는 PF 대주단 협약을 이달 중에 가동하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을 통해 사업 재구조화를 도울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채권은행이 건설사의 PF 사업장 위험, 유동성 위험 등을 충분히 반영해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부동산 PF 부실이 확대될 것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부실 우려가 있는 건설사는 선제적인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도록 유도해나갈 예정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전국 부동산 PF 사업장 5000곳 가운데 300∼500곳을 중요 관리 대상 사업장으로 지정했다면서 "해당 사업장의 경우 세밀한 관리를 통해 시스템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챙겨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suc@ekn.kr

성우창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