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저신용 다중채무자 청년, 1년 새 4만명 늘었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4.17 09:59
연령별 다중채무자

▲자료=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다중채무자이면서 신용등급이 낮거나 소득이 적은 30대 이하 청년층이 지난해 4만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 경제위기대응센터 자문위원장)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30대 이하 청년층 취약차주는 46만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약차주(126만명)의 36.5%다.

한은은 3곳 이상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신용(7∼10등급) 또는 저소득(하위 30%)인 대출자를 취약차주로 분류한다. 이들은 고금리 시기 대출 상환능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

전체 취약차주는 1년 동안 6만명 늘었는데, 30대 이하 청년층에서만 4만명 증가했다.

지난해 말 전체 가계 취약차주 대출 규모는 93조9000억원으로, 1년 전(92조8000억원)과 비교해 1조1000억원 늘었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 연령대에서 다시 오르고 있다. 연체율은 30일 이상 연체 전액 합계를 30일 이상 대출 잔액 합계로 나눈 값이다.

지난해 말 기준 가계대출 연체율은 30대 이하 0.5%, 40·50대 0.6%, 60대 이상 0.7%로 집계됐다. 모두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3곳 이상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의 연체가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다중채무자 연체율은 1.1%로, 1년 전 대비 0.2%포인트 올랐다.

다중채무자 연체액은 6조4000억원으로, 1년 전(5조1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 늘었다.

진선미 의원은 "고금리 추세에서 취약차주 대출과 연체가 늘면서 청년층과 노년츠을 중심으로 이자 부담이 크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국민의 이자 부담을 낮추기 위한 더불어민주당의 민생금융 위기 대응책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했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